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10월20일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1.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2. 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3.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4. 호미,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를 제작하였다.
     5. 주먹도끼, 찍개 등의 뗀석기를 처음 제작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사유재산,계급과 민무늬 토기,반달 돌칼이 유적에 있는것을 보면 청동기시대인걸 알수있습니다.
그러므로 1.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구석기 시대 2.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청동기 시대
3.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신석기 시대 4.호미,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를 제작하였다=철기 시대
5.주먹도끼, 찍개 등의 뗀석기를 처음 제작하였다=구석기 시대
즉 정답은 청동기 시대인 2번이 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 학생]

반달돌칼과 사유재산 민무늬 토기 반달돌칼은 청동기이라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따라서 청동기인 2번 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가 정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사능력검정 시험 수험생]

2. 밑줄 그은 '이 나라'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임신서기석의 내용을 분석한다.
     2. 칠지도에 새겨진 명문을 해석한다.
     3. 수도 왕검성의 위치에 대한 자료를 검색한다.
     4. 10월에 지냈던 제천 행사인 동맹을 살펴본다.
     5.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한 화백 회의에 대해 조사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개 다 고조선에 대한 내용이다. 고조선의 수도는 왕검성이다 +한 무제의 침략으로 약 1년간 항전하다가 왕검성이 함락하여 멸망했다(기원전 108년)
[해설작성자 : 힣]

1.신라
2.백제
3.고조선
4.고구려
5.신라
[해설작성자 : ㅎㅇ]

3.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신라가 기벌포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2. 고구려가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3. 계백이 이끈 결사대가 황산벌에서 패배하였다.
     4.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였다.
     5. 김춘추가 당으로 건너가 군사 동맹을 체결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가) - 백제 근초고왕이 고구려 고국원왕을 전사시킴 → 평양성전투
(나) - 양국의 병사가 지친 틈을 타 →진흥왕이 나제 동맹 결렬(아니면 말해주세요)
             이사부라는 키워드가 지증왕이라 헷갈림, 이사부는 지증왕 시절 지방관으로 파견 됨.
→ 사이에 일어난 일이니 2번 보기인 고구려가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장수왕 시절
(가)는 백제 전성기, (나)는 신라 전성기 →그 사이에 고구려 전성기(3번 정답)
[해설작성자 : ㅎㅇ]

4. (가)~(다)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가) - 고구려에서 남하한 온조가 도읍으로 삼았다.
     2. (나) - 문주왕 때 천도한 곳이다.
     3. (나) -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 무덤이 있다.
     4. (다) - 왕궁리 오층 석탑이 있다.
     5. (다) - 백제 금동 대향로가 출토되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수도 2번 바뀐 나라는 백제 '가'는 한성(현 서울), '나'는 웅진(현 공주), '다'는 사비(현 부여)

1번 - 한성
2번 -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정책으로 인해 개로왕 사망 이후 문주왕 때 웅진 천도
3번 - 무령왕릉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아 벽돌무덤으로 지어짐
4번 - 왕궁리 5층 석탑은 익산에 있으므로 오답
5번 - 백제금동대향로는 능산리 고분군에서 출토됨
[해설작성자 : 한능검1급소망자]

5.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태학과 경당을 두어 인재를 양성하였다.
     2.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에 제한이 있었다.
     3. 국경 지역인 양계에 병마사를 파견하였다.
     4. 정사암에서 국가의 중대한 일을 결정하였다.
     5. 여러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보기에서 쌍영총 →고구려 → 굴식 돌방무덤
1.고구려 교육 기관 (정답)
2.신라
3.고려
4.백제
5.부여
[해설작성자 : ㅎㅇ]

6.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1. 상평창과 물가 조절
     2. 은병이 화폐 유통에 미친 영향
     3. 진대법으로 알아보는 빈민 구제
     4. 덩이쇠 수출을 통해 본 낙랑과의 교역
     5. 울산항을 통한 아라비아 상인들과의 교류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고려
2.고려
3.고구려
4.가야
5.통일 신라(당항성은 신라)
[해설작성자 : ㅎㅇ]

7. 밑줄 그은 '이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서경을 북진 정책의 기지로 삼았다.
     2. 정당성의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3. 영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4. 군사 조직으로 9서당 10정을 편성하였다.
     5. 관리 선발을 위해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정혜공주, 모줄임 천장, 굴식돌방무덤, 고구려 양식 계승 →발해
1.고려
2.정당성 선조성 중대성 → 발해
3.광개토대왕 고구려
4.통일신라 신문왕
5.통일신라 원성왕
[해설작성자 : ㅎㅇ]

8.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은? [2점]

   

     1. 김흠돌이 반란을 도모하였어요.
     2. 김사미와 효심이 난을 일으켰어요.
     3. 원종과 애노가 사벌주에서 봉기하였어요.
     4. 김유신이 비담과 염종의 난을 진압하였어요.
     5. 복신과 도침이 주류성에서 군사를 일으켰어요.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신문왕
2.고려 무신정권 시기(이의민 시기)
3.진성여왕(정답)
4.선덕여왕 시기(신라)
5.백제 부흥 운동
[해설작성자 : ㅎㅇ]

9.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훈요 10조를 남겼다.
     2.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되었다.
     3. 금마저에 미륵사를 창건하였다.
     4. 완산주를 도읍으로 삼아 나라를 세웠다.
     5. 광평성을 비롯한 정치 기구를 마련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경애왕이 습격을 받고, 공산전투에서 고려군을 이겻다 > 견훤

1번 훈요 10조는 왕건이다.
2번 경주의 사심관은 신라의 마지막 왕 경순왕 김부이다.
3번 금마저에 미륵사를 창건한건 백제시대이다.
4번 정답 / 완산주 - 전주, 지금의 전북도
5번 광평성은 모두의 아이돌 궁예를 떠올리면 된다.
[해설작성자 : 국가공인]

10.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가) - 내부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
     2. (가) - 1층 탑신에 당의 장수 소정방의 명으로 새긴 글이 있다.
     3. (나) - 자장의 건의로 건립되었다.
     4. (나) -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았다.
     5. (다) - 선종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불국사3층 석탑
2. 백제 정림사지 5층 석탑
3. 황룡사 9층 목탑 → 선덕여왕(자장이 건의, 아비지가 설계)
4.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 →(가)보기
5. 정답(통일신라)
[해설작성자 : ㅎㅇ]

11. 다음 검색창에 들어갈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관학을 진흥하고자 양현고를 설치하였다.
     2. 광덕, 준풍 등의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3. 주전도감을 설치하여 해동통보를 발행하였다.
     4. 정계와 계백료서를 지어 관리의 규범을 제시하였다.
     5.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보기는 성종
1. 예종
2. 광종
3. 숙종
4. 태조
5. 성종(정답)
[해설작성자 : ㅎㅇ]

12. (가)에 대한 고려의 대응으로 옳은 것은? [2점]

    

     1. 윤관을 보내 동북 9성을 개척하였다.
     2. 화통도감을 두어 화포를 제작하였다.
     3. 광군을 조직하여 침입에 대비하였다.
     4. 박위를 파견하여 근거지를 토벌하였다.
     5. 철령위 설치에 반발해 요동 정벌을 추진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초조대판경, 현종 > 거란 유추 가능

1번 윤관은 여진이다.
2번 화통도감은 고려말 왜구이다.
3번 맞다 / 서희의 키보드배틀 이전, 낙타 이후로 기억하면 편하다
4번 박위는 고려말, 조선초 인물이다. / 이성계의 사주를 보다가 탄핵당했다고 기억하면 편하다
5번 요동정벌은 최영과 이성계 기억하면 편하다
[해설작성자 : 국가공인]

13.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1. 봉사 10조를 국왕에게 올렸습니다.
     2. 관군을 이끌고 묘청의 난을 진압하였습니다.
     3. 만권당에서 원의 유학자들과 교유하였습니다.
     4. 불씨잡변을 저술하여 불교를 비판하였습니다.
     5. 9재 학당을 설립하여 유학 교육에 힘썼습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보기는 김부식
1. 최충헌
2. 김부식(정답)
3. 성리학자 이제현, 충선왕
4. 정도전
5. 최충
[해설작성자 : ㅎㅇ]

14. (가)~(다)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

    

     1. (가) - (나) - (다)
     2. (가) - (다) - (나)
     3. (나) - (가) - (다)
     4. (나) - (다) - (가)
     5. (다) - (나) - (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가)-개경으로 환도 → 원나라 침입 시 원종
(나)-조위총 →무신정권 시기 정중부 집권 시절
(다)-최우 →정방 →무신정권 시기 최우 집권 시절
순서대로 (나)-(다)-(가)
[해설작성자 : ㅎㅇ]

15. 밑줄 그은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권문세족이 도평의사사를 장악하였다.
     2. 왕조 교체를 예언하는 정감록이 유포되었다.
     3. 강조가 정변을 일으켜 김치양을 제거하였다.
     4. 김보당이 의종 복위를 주장하며 난을 일으켰다.
     5. 국정을 총괄하는 기구로 교정도감이 설치되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보기 →원 간섭기
1. 정답
2. 조선 후기
3. 고려 목종
4. 무신정권 정중부 집권 시기
5. 무신정권 최충헌 집권 시기
[해설작성자 : ㅎㅇ]

16. (가) 국가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2점]

    

     1. 솔빈부의 말이 특산품으로 유명하였다.
     2. 송상이 전국 각지에 송방을 설치하였다.
     3. 서적점, 다점 등의 관영 상점을 운영하였다.
     4. 집집마다 부경이라고 불리는 창고가 있었다.
     5. 광산을 전문적으로 경영하는 덕대가 나타났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123년, 송 → 고려
1. 발해
2. 조선 후기
3. 고려(정답)
4. 고구려
5. 조선 후기
[해설작성자 : ㅎㅇ]

17. (가) 국가의 탑으로 옳은 것은? [1점]

    

     1.
     2.
     3.
     4.
     5.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본문: 고려 경천사지 10층석탑
1: 신라 석가탑
2: 백제 부여정림사지 5층석탑
3: 고려 월정사 8각9층석탑
4: 통일신라 구례 화엄사 4사자3층석탑
5: 백제 미륵사지 석탑
[해설작성자 : ㅎㄱㄱㅇ]

18. 밑줄 그은 '임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공신들에게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2. 주자소를 두어 계미자를 주조하였다.
     3. 정치도감을 설치하여 개혁을 추진하였다.
     4. 구황촬요를 간행하여 기근에 대비하였다.
     5. 유자광의 고변을 계기로 남이를 처형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역분전 지급(940) - 고려 태조
2. 계미자 주조(1403) - 조선 태종 (정답)
3. 정치도감 설치(1347) - 고려 충목왕
4, 구황촬요(1554) - 조선 명종
5. 남이의 옥(1498) - 조선 예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가)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은대(銀臺)라고도 불렸다.
     2. 전문 강좌인 7재를 운영하였다.
     3. 고려의 삼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였다.
     4. 단종 복위 운동을 계기로 세조에 의해 폐지되었다.
     5. 대사성을 수장으로 좨주, 직강 등의 관직을 두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단종 복위 운동을 계기로 세조에 의해 폐지되었다.-세종은 집현전실행/ 세조는 집현전 폐지
[해설작성자 : 2월에 합격하자]

1. 승정원
2. 국자감
3. 삼사
4. 정답 집현전
5. 성균관
[해설작성자 : 정교은]

20. 밑줄 그은 '전하'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예악을 정리한 가례집람이 저술되었다.
     2. 국가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이 완성되었다.
     3. 외교 문서를 집대성한 동문휘고가 편찬되었다.
     4.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기 위한 탕평비가 건립되었다.
     5. 이조 전랑 임명을 둘러싸고 김효원과 심의겸이 대립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본문: 성종
1: 선조
2: 성종
3: 정조
4: 영조
5: 선조
[해설작성자 : ㅎㄱㄱㅇ]

21. 밑줄 그은 '이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본문: 명종 을사사화
[해설작성자 : ㅎㄱㄱㅇ]

22. (가) 사절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연행사라는 이름으로 보내졌다.
     2. 암행어사의 형태로 비밀리에 파견되었다.
     3. 민영익, 홍영식, 서광범 등이 참여하였다.
     4. 사행을 다녀온 여정을 조천록으로 남겼다.
     5. 관련 기록물이 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되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조선-일본 여정 = 통신사

1번 - 통신사라는 이름으로 보내졌다.
2번 - 외교단 형태로 대놓고 파견되었다.
3번 - 민영익, 홍영식, 서광범 등이 참여한 것은 보빙사(미국)이다.
4번 - 조천록이 남긴것은 중국에서 사신이 올때 대접한 천사일로일기 이다.
5번 - 세계 기록 유산에 2017년 등재되었다.
[해설작성자 : 국가공인]

23. (가)에 들어갈 작품으로 옳은 것은? [1점]

    

     1.
     2.
     3.
     4.
     5.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 매화초옥도
2. 월하정인
3. 송석원시사야연도
4. 고사관수도
5. 금강전도
[해설작성자 : RIDI현]

24. 밑줄 그은 '전란' 중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이종무가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2. 강홍립이 사르후 전투에 참전하였다.
     3. 김준룡이 광교산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4. 조헌이 금산에서 의병을 이끌고 활약하였다.
     5. 신립이 탄금대에서 배수의 진을 치고 전투를 벌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삼전도에서의 굴욕은 호란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1) 이종무가 대마도를 정벌한 것은 왜구의 근거지를 토벌한 것이다.
남은 보기 중에서 호란과 관련된 사건은
김준룡이 광교산 전투에서 승리한 사건뿐이다.
[해설작성자 : 룽]

1. 세종 - 대외 정책
2. 광해군 - 중립 외교 정책
3. 정답
4. 임진왜란
5. 임진왜란
[해설작성자 : 감사한 마음에..]

25. 밑줄 그은 '이 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양반에게도 군포를 거두었다.
     2. 토지 1결당 쌀 2두의 결작을 부과하였다.
     3. 전세를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차등 과세하였다.
     4. 부족한 재정 보충을 위해 선무군관포를 징수하였다.
     5. 관청에 물품을 조달하는 공인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방납의 폐단+공물을 쌀로 납부+토지결수 기준 = 대동법
대동법의 실시로 공인 등장 > 막대한 물품 거래로 상품화폐경제 발달
1. 호포제 (조선 흥선대원군)
2. 균역법 (조선 영조)
3. 연분9등법 (조선 세종)
4. 균역법
5. 정답
[해설작성자 : 미니미]

26.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기해 예송에서 기년설을 주장하였다.
     2. 지전설을 주장한 의산문답을 집필하였다.
     3.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학파를 형성하였다.
     4. 역대 명필을 연구하여 추사체를 창안하였다.
     5. 양반의 허례와 무능을 풍자한 양반전을 지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기축봉사, 제주도 = 송시열
1. 기년설 주장 = 송시열
2. 의산문답 = 홍대용
3. 양명학, 강화학파 = 정제두
4. 추사체 = 김정희
5. 양반전 = 박지원
[해설작성자 : 이번엔 간다]

27.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점]

    

     1. 금속 화폐인 건원중보가 주조되었다.
     2. 담배와 면화 등의 상품 작물이 재배되었다.
     3. 보부상이 장시를 돌아다니며 상업 활동을 하였다.
     4. 모내기법의 확대로 벼와 보리의 이모작이 성행하였다.
     5. 설점수세제의 시행으로 민간의 광산 개발이 허용되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비변사 = 조선 후기 국정 총괄 최고 기구
도고 = 조선 후기 독점 도매 상인

1. 건원중보 = 고려
[해설작성자 : RIDI현]

28. (가)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백두산정계비를 세워 청과의 국경을 정하였다.
     2. 삼군부를 부활시켜 군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3. 통치 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속대전을 편찬하였다.
     4. 규장각에 검서관을 두어 서얼 출신 학자들을 기용하였다.
     5. 한양을 기준으로 역법을 정리한 칠정산 내편을 제작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번: 숙종
2번: 흥선대원군
3번: 영조
4번: 정조(정답)-신해통공,무예도보통지,대전통편,동문휘고,탁지지
5번: 세종
[해설작성자 : 2월에 합격하자]

29. (가)~(라)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ㄷ = 동아일보
ㄹ = 한성주보
[해설작성자 : RIDI현]

30. (가), (나) 체결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었다.
     2. 러시아가 용암포 조차를 요구하였다.
     3.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적으로 점령하였다.
     4. 일본 군함 운요호가 영종도를 공격하였다.
     5. 청과 대등한 입장에서 한청 통상 조약이 맺어졌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가) 1876년, (나) 방곡령 1883년

1. 1882년
2. 1903년
3. 1885년
4. 1875년
5. 1899년
[해설작성자 : RIDI현]

31. 밑줄 그은 '사건' 이후에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홍경래가 난을 일으켰다.
     2. 임술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3. 황사영 백서 사건이 발생하였다.
     4. 어재연이 광성보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5. 청의 요청으로 나선 정벌에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32.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과거제가 폐지되었다.
     2. 호포제가 실시되었다.
     3. 교정청이 설치되었다.
     4. 5군영이 2영으로 통합되었다.
     5. 교육 입국 조서가 반포되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문제 해설>
갑오개혁2차 (1894.12~1895.07)-을미개혁(1895.08~1896.02)
1번 : 갑오개혁1차
2번 : 흥선대원군
3번 : 동학농민운동 1차 농민봉기(1894.03)
4번 : 개화정책 때 군제개편(수신사 파견 -박규수,유홍기 후 )
5번 : 갑오개혁2차
[해설작성자 : 2월에 합격하자]

33.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1. 농민군이 정부와 화약을 맺었다.
     2. 최제우가 혹세무민의 죄로 처형되었다.
     3. 홍계훈의 관군을 상대로 농민군이 승리하였다.
     4. 피신해 있던 농민군의 지도자 전봉준이 체포되었다.
     5. 농민들이 조병갑의 탐학에 맞서 만석보를 파괴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34. 밑줄 그은 '이 시기'의 의병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13도 창의군을 결성하였다.
     2. 한중 연합 전선을 형성하였다.
     3. 최익현이 태인에서 궐기하였다.
     4. 고경명 등이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5.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키워드 - 고종의 강제 퇴위, 군대 강제 해산 -> 정미7조약

정미7조약 -> 정미의병 -> 13도 창의군 -> 서울진공작전
[해설작성자 : 키키]

35. 밑줄 그은 '개혁'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1. 홍범 14조를 반포하였다.
     2. 공사 노비법을 혁파하였다.
     3. 신식 군대인 별기군을 창설하였다.
     4. 근대 교육 기관인 육영 공원을 설립하였다.
     5. 지계아문을 설치하여 토지 소유자에게 지계를 발급하였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구본신참 = 광무개혁

1. 제 2차 갑오개혁
2. 제 1차 갑오개혁
3. 개항 이후
4. 개항 이후
5. 광무개혁
[해설작성자 : RIDI현]

36. (가)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통감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중단되었다.
     2.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저지하였다.
     3. 순종의 인산일을 기회로 삼아 추진되었다.
     4.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5. 성진회와 각 학교 독서회에 의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37. (가)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영릉가에서 일본군에 승리를 거두었다.
     2. 미국과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계획하였다.
     3. 중국 팔로군과 함께 호가장 전투에서 활약하였다.
     4. 동북 항일 연군으로 개편되어 유격전을 전개하였다.
     5. 중광단을 중심으로 조직되어 항일 독립 전쟁에 참여하였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가 : 북로군정서
1번 : 조선혁명군
2번 : 한국광복군
5번 : 북로 군정서(정답)
[해설작성자 : 2월 합격하자]

38. 밑줄 그은 '이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찾은 것은? [1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39.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1. 별 헤는 밤, 참회록 등의 시를 남겼다.
     2. 국문 연구소의 연구위원으로 활동하였다.
     3. 근대극 형식을 도입한 토월회를 조직하였다.
     4. 실천적인 유교 정신을 강조하는 유교구신론을 저술하였다.
     5. 브나로드 운동을 소재로 한 소설 상록수를 신문에 연재하였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 윤동주
2. 주시경, 지석영 등
3. 박승희, 김복진    
4. 박은식
5. 정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1. 개화 정책의 추진과 한계
     2. 식민지 근대 도시의 이중성
     3. 형평 운동의 전개 과정과 반발
     4.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시행 결과
     5.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과 신분제의 동요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41. 밑줄 그은 '시기'에 볼 수 있는 사회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몸뻬 착용을 권장하는 애국반 반장
     2. 경성 제국 대학 설립을 추진하는 관리
     3. 헌병 경찰에게 끌려가 태형을 당하는 농민
     4. 원산 총파업에 연대 지원금을 보내는 외국 노동자
     5. 안창남의 고국 방문 비행을 환영하기 위해 상경하는 청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1938년 일제는 국민정신 총동원 조선연맹을 조직하고, 연맹의 가장 하부에 10호 단위로 애국반을 조직하여 정기적인 반상회를 통해 창씨개명, 일본어 사용, 헌금과 공출 등을 강요하였다.
2. 1924년 일제는 한국인들의 고등 교육에 대한 열망을 무마하기 위해    경성 제국 대학을 설립하였다.
3. 1912년 일제는 조선 태형령을 제정하여 한국인에게 태형의 형벌이 가하였다.
4. 1929년 일제 강점기 최대 규모의 노동 운동인 원산 총파업이 전개되었다.
5. 안창남은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사로, 1922년 동아일보사 후원으로    고국 방문 비행을 하여 대환영을 받았다.
[해설작성자 : 한국사어려움]

42.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 -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2. ㉡ - 이륭양행에 교통국을 설치하여 국내와 연락을 취하였다.
     3. ㉢ - 의열단이 활동 지침으로 삼았다.
     4. ㉣ - 역사를 아와 비아의 투쟁으로 정의하였다.
     5. ㉤ - 안중근 의사가 순국한 곳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진상 조사단 파견 -> 신간회
[해설작성자 : 11]

43. (가)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 허정 과도 정부가 구성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2.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가 설치되는 배경이 되었다.
     3. 장기 독재를 비판하는 3·1 민주 구국 선언을 발표하였다.
     4. 민주화를 위한 개헌 청원 100만인 서명 운동을 전개하였다.
     5. 정부 차원에서 진상 조사 보고서를 발간하고 공식 사과하였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주도에서 발생=>제주도 4.3사건
[해설작성자 : cms]

44.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대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1. 경부 고속 도로가 개통되었어요.
     2.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되었어요.
     3. 진보당의 당수였던 조봉암이 처형되었어요.
     4.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가 해체되었어요.
     5. 유상 매수, 유상 분배 원칙의 농지 개혁법이 제정되었어요.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우남', '419 혁명으로 하야 -> 이승만'
1번 선지의 경부고속도로 개통은 박정희 시기
[해설작성자 : 햄부기온앤온]

45. 밑줄 그은 '당시 헌법'이 시행된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국민 방위군에 소집되는 청년
     2. 개성 공단 착공식에 참석하는 기업인
     3. 미소 공동 위원회의 재개를 요구하는 시민
     4.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소식을 보도하는 기자
     5. 통일 주체 국민 회의 대의원 명단을 점검하는 공무원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긴급 조치 = 유신 헌법

1. 6.25 전쟁
2. 김대중 정부 (6.15 남북 공동 선언)
3. 광복 이후
4. 노태우 정부
5. 유신 헌법
[해설작성자 : RIDI현]

46. (가)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2점]

    

     1. 굴욕적인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였다.
     2.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냈다.
     3. 시위 과정에서 시민군이 자발적으로 조직되었다.
     4. 3선 개헌 반대 범국민 투쟁 위원회를 결성하였다.
     5. 대통령 중심제에서 의원 내각제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호헌 철폐 = 6월 민주 항쟁 (직선제 요구가 주된 내용)

1. 6.3 시위
2. 6.29 민주화 선언
3. 5.18 광주 민주화 운동
4. 박정희 정부 3선 개헌 추진 당시
5. 4.19 혁명
[해설작성자 : RIDI현]

47. (가)~(라)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
     1. (가) - (나) - (다) - (라)
     2. (가) - (나) - (라) - (다)
     3. (나) - (가) - (라) - (다)
     4. (나) - (다) - (가) - (라)
     5. (다) - (라) - (나) - (가)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문제 해설>
(가) 통일 신라 신문왕 =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나) 고려 경종 = 전시과 시행 (첫 번째 전시과 제도 = 시정 전시과)
(다) 고려 공양왕 = 과전법 시행
(라) 조선 세조 = 직전법 시행 (현직 관리에게만 토지 지급)
[해설작성자 : RIDI현]

48. ㉠, ㉡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9%
     <문제 해설>
ㄱ의 왕은 신문왕이기에 9주 5소경을 시행이 맞습니다.
하지만
직전법은 세조때 시행되었던 제도입니다. 그러므로 ㄴ은 세조이고 세조 당시에는 계유정난으로 인해 왕이 되었기에 즉위하자마자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6조직계제를 시행하였습니다.

ㄱ: 병부 설치 >>> 법흥왕
ㄴ: 9주 5소경 >>> 신문왕
ㄷ: 6조 직계제 >>> 처음 시행: 태종 이방원, 두번째 시행: 세조 수양대군
ㄹ: 초계문신제 >>> 정조
[해설작성자 : 한능검 준비생]

49. 다음 뉴스가 보도된 정부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서울 올림픽 대회가 개최되었다.
     2. 보도 지침으로 언론이 통제되었다.
     3. 삼풍 백화점 붕괴 사고가 일어났다.
     4. 양성 평등의 실현을 위해 호주제가 폐지되었다.
     5. 사회 통합을 위한 다문화 가족 지원법이 시행되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교복/두발 자유, 야간 통금 해제 = 전두환 정부

1. 노태우 정부
2. 전두환 정부
3. 김영삼 정부
4. 노무현 정부
5. 이명박 정부
[해설작성자 : RIDI현]

50. (가) 지역을 지도에서 옳게 찾은 것은? [1점]

    

     1.
     2.
     3.
     4.
     5.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문제 해설>
ㄱ. 신립의 탄금대 전투
ㄴ. 고창 전투, 공민왕의 피난처, 이천동 마애 여래 입상, 봉정사 극락전, 도산 서원, 병산 서원 위치
ㄷ. 정답
ㄹ.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함.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신 경기전 설치. 전주 화약 체결. 전동 성당 건립
ㅁ. 삼별초 항쟁 전개. 팔만대장경 조판. 부근리 고인돌, 홍릉, 죽산 조봉암 선생 추모비, 고려 궁지, 대몽항쟁기에 조성된 왕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20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009 인터넷보안전문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10월27일(16308) 좋은아빠되기 2025.03.05 39
35008 영상정보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12월01일(16307) 좋은아빠되기 2025.03.05 28
35007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12월01일(16306) 좋은아빠되기 2025.03.05 11
35006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11월16일(16305) 좋은아빠되기 2025.03.05 10
35005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11월16일(16304) 좋은아빠되기 2025.03.05 3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10월20일(16303) 좋은아빠되기 2025.03.05 21
35003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10월05일(16302) 좋은아빠되기 2025.03.05 11
35002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10월05일(16301) 좋은아빠되기 2025.03.05 6
35001 국내여행안내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4년11월02일(16300) 좋은아빠되기 2025.03.05 8
35000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5회차(16299) 좋은아빠되기 2025.03.05 9
34999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4회차(16298) 좋은아빠되기 2025.03.05 5
34998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3회차(16297) 좋은아빠되기 2025.03.05 5
34997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2회차(16296) 좋은아빠되기 2025.03.05 7
34996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1회차(16295) 좋은아빠되기 2025.03.05 11
34995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5회차(16294) 좋은아빠되기 2025.03.05 5
34994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4회차(16293) 좋은아빠되기 2025.03.05 4
34993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3회차(16292) 좋은아빠되기 2025.03.05 7
34992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2회차(16291) 좋은아빠되기 2025.03.05 6
34991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1회차(16290) 좋은아빠되기 2025.03.05 6
34990 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0115회차(16289) 좋은아빠되기 2025.03.05 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51 Next
/ 1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