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4월 02일(2회)(8035714)


1과목 : 건축구조


1. 다음 중 셀구조의 대표적인 구조물은?
     1. 세종문화회관
     2.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3. 인천대교
     4.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5%
     <문제 해설>
셸구조[shell structure]
* 개요
- 얇은 곡면 형태의 판이 지니는 역학적 특성을 응용한 구조이다.
- 대표적인 구조물로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가 있다.
* 역학적특성
- 면에 곡률을 주어 경간을 확장하는 구조이다.
- 곡면 주고 부재의 축선을 따라 발생하는 응력으로 외력에 저항한다.
- 외력은 주로 판의 면내력으로 전달된다.
* 장점
- 가볍고 강성이 우수한 구조 시스템이다.
- 큰 간사이의 지붕을 만들 수 있다.
-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할 때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순천 비트컴퓨터학원]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 셀구조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 = 막구
[해설작성자 : ..]

곡면으로 휘어진 얇은 판으로 공간을 덮는 것을 셀 구조라 한다.
[해설작성자 : 까망앙마]

2. 케이블을 이용한 구조로만 연결된 것은?
     1. 현수구조 – 사장구조
     2. 현수구조 - 셀구조
     3. 절판구조 – 사장구조
     4. 막구조 - 돔구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현수구조
* 특수 지지 프레임을 세우고 프레임 상부 새들을 통해 걸친 케이블에서 로프를 내려 구조물을 매다는 구조이다.
* 대표적인 구조물로 금문교, 영종대교 등이 있다.
사장교(사장구조)
* 주탑에서 케이블을 내려 구조물을 매다는 교량구조이다.
* 대표적인 구조물로 서해대교, 인천대교 등이 있다.

현수구조- 지붕,바닥판 등의 슬래브를 케이블로 매단 구조
[해설작성자 : 민지남친]

3. 열려진 여닫이문을 저절로 닫히게 하는 장치는?
     1. 문버팀쇠
     2. 도어스톱
     3. 도어체크
     4. 크레센트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도어체크-도어클로저)
열려진 여닫이문의 속도를 조절하면서 저절로 닫히게 하는 철물이다
(도어스톱)
열려진 문을 제자리에 머물게 하거나 벽에 부딪히지 않도록 고정하는 철물이다
(크레센트)
초승달 모양의 철물을 회전시켜 캐치에 거는 방식으로 창을 잠그는 철물이다
오르내리창, 미서기창 등을 잠그는데 사용한다

4. 건축구조의 구성방식에 의한 분류 중 하나로 구조체인 기둥과 보를 부재의 접합에 의해서 축조하는 방법으로 뼈대를 삼각형으로 짜 맞추면 안정한 구조체를 만들 수 있는 구조는?
     1. 가구식 구조
     2. 캔틸레버 구조
     3. 조적식 구조
     4. 습식 구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부재 :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이나 보, 지붕틀 구조등의 막대모양의 재료을 뜻함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가구식구조
* 구조체인 기둥과 보를 부재의 접합에 의하여 축조하는 구조이다.
* 뼈대를 삼각형으로 짜 맞추면 안정한 구조체를 만들수 있다.
* 각 부재의 접합 및 짜임새에 따라 구조체의 강도가 좌우된다.
* 목구조, 철골구조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순천 비트컴퓨터학원]

캔틸레버 구조 - 한쪽 끝으로만 떠받치어 공중으로 돌출한 들보

[추가 해설]

조적식 구조(Masonry Structure):벽돌구조,블록구조,석구조

a.    낱낱의 재료를 쌓아서 만드는 구조(벽돌,블록,돌)
b.    단순히 몰탈로 접착하여 쌓아 올린 벽체를 구성하는 바닥,지붕들은 목조 철골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한다
c.    단체의 강도와 단체 사이의 교착도가 전체 구조의 강도를 좌우한다
d.    부동침하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다

습식구조(Wet Construction)
a. 바름벽,콘크리트 등을 쓰는 구조로 건식구조의 반대로 물을 많이 써서 건축하는 구조
[해설작성자 : 7일 공부해서 합격하자]

5. 한옥 구조에서 다락기둥이 의미하는 것은?
     1. 고주
     2. 누주
     3. 찰주
     4. 활주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고주: 이주 구주 평면상 내부 기둥
누주: 다락기둥
찰주: 탑의 중심기둥
활주: 추녀뿌리를 받친 기둥, 단면은 원형 또는 팔각형이 많다
[해설작성자 : 순천 비트컴퓨터학원]

6.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역학적으로 인장력에 주로 저항하는 부분은 콘크리트이다.
     2. 콘크리트가 철근을 피복하므로 철근구조에 비해 내화성이 우수하다.
     3. 콘크리트와 철근의 선팽창계수가 거의 같아 입체화에 유리하다.
     4. 콘크리트는 알칼리성이므로 철근의 부식을 막는 기능을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원리)
* 강도의 상호보완
-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고 인장력은 철근이 부담한다.
-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고 인장력에 취약(압축강도의 약 1/10 정도)하므로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위치에 철근을 배근한다.
* 피복
- 콘크리트는 알카리성으로, 산성인 철근의 부식을 방지한다.
- 내구성, 내화성이 우수한 콘크리트가 철근을 피복하여 보호하며, 피복두께를 크게 하면 내구성은 증대된다.
* 부착력
-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선팽창계수)는 거의 같아 입체화에 유리하다.
- 콘크리트와 철근이 강력히 부착되면 철근의 좌굴이 방지되며, 압축력에 유효하게 된다.

7. 다음 중 입체구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절판구조
     2. 아치구조
     3. 셀구조
     4. 돔구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건축구조의 구조형식에 의한 분류
* 평면구조
- 응력이 평면적인 요소로 분해되는 일반화된 구조형식이다.
- 라멘구조, 트러스구조, 아치구조, 벽식구조 등이 있다.
* 입체구조
- 외력에 3차원적으로 저항하는 구조이다.
- 셸구조, 돔구조, 절판구조, 곡면판구조, 입체트러스구조, 현수구조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순천 비트컴퓨터학원]

부재를 입체적으로 배열한 구조 , 구성법에 따라 절판구조, 현수구조, 입체트러스 등이 있음
[해설작성자 : 까망앙마]

8. 측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압은 지하외벽에 작용하는 대표적인 측압이다.
     2. 콘크리트 타설 시 슬럼프 값이 낮을수록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이 크다.
     3. 벽체가 받는 측압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부축벽을 세운다.
     4.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수압에 의한 측압이 크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슬럼프 값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해설작성자 : 까망앙마]

* 묽은 콘크리트일수록 슬럼프 값이 크고 거푸집에 가해지는 측압이 크다
(측압)
* 물체의 측면에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압력을 말한다.
* 토압은 지하외벽에 작용하는 대표적인 측압이다.
* 콘크리트 타설 시 슬럼프 값이 클수록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이 크다.
* 벽체가 받는 측압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부축벽을 세운다.
*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수압에 의한 측압이 크다.

[추가해설]
옹벽, 지하벽 따위의 측면에 가해지는 수압이나 토압이다. 또는 관 속을 유체가 흐를 때 그 유선과 수직으로 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한다.
또한 슬럼프가 클수록 측압이크다.
[해설작성자 : 신영현]

9.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된 상대의 아치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아치의 하단 단변의 크기를 작게 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였다.
     2. 상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포물선의 형태로 설치하였다.
     3. 응력 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점을 많이 설치하였다.
     4. 수직방향의 응력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단에 이동단을 설치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상부의 하중이 아치의 포물선을 따라 좌우로 나눠져 압축력을 전달
[해설작성자 : 까망앙마]

(아치구조-Arch structure)
* 개구부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돌이나 벽돌을 곡선형으로 쌓아올린 구조이다.
* 상부에서 오는 수직하중이 아치의 축선에 따라 포물선의 형태로 좌우로 나뉘어져 밑으로 압축력만을 전달하게 한 것이다.
* 부재의 하부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는다.
* 조적 벽체의 창이나 문의 상부에서 버팀대 역활을 한다.

10. 반원 아치의 중앙에 들어가는 돌의 이름은?
     1. 쌤돌
     2. 고막이돌
     3. 두겁돌
     4. 이맛돌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이맛돌(Key Stone)
* 아치 쌓기의 중앙부에 끼워서 마무리하는 부재이다.
쌤돌(창쌤)
* 창문의 틀 옆에 세워대는 돌 또는 벽돌벽의 중간에 설치한 부재이다
고막이돌
* 토대나 하인방의 하부 등을 막는 돌이다
두겁돌
* 난간벽, 부란, 박공벽 위에 덮은 돌로서 빗물막이와 난간 동자받이의 목적 이외에 장식도 겸하는 돌이다.
[해설작성자 : 순천 비트컴퓨터학원]

반원 아치의 중앙에 장식적으로 들어가는 돌 - 이맛돌
[해설작성자 : 까망앙마]

11. 벽돌쌓기법 중 모서리 또는 끝부분에 칠오토막을 사용하는 것은?
     1. 영국식 쌓기
     2. 프랑스식 쌓기
     3. 네덜란드식 쌓기
     4. 미국식 쌓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네델란드(화란식) 쌓기
* 한 켜는 마구리 쌓기, 다음 한켜는 길이 쌓기를 교대로 쌓는 방식이다.
* 모서리에 칠오토막을 사용한다.
* 통줄눈이 생기지 않는다.
* 모서리가 견고하고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순천 비트컴퓨터학원]

영국식 쌓기는 모서리에 이오토막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내일 모레 시험]

1) 영국식 쌓기
- 길이 쌓기 켜와 마구리 쌓기 켜를 번갈아서 쌓아 올리는 방법
- 마무리 켜의 모서리 부분에는 이오토막을 사용
2) 네덜란드식 쌓기
- 길이 쌓기 켜와 마구리 쌓기 켜를 번갈아서 쌓아 올리는 방법
- 길이 쌓기 켜의 모서리에는 칠오토막 사용
3) 프랑스식 쌓기
- 한 켜에 길이 쌓기와 마구리 쌓기를 번갈아 가며 쌓는다
4) 미국식 쌓기
- 한 켜는 마구리 쌓기로 하고 그 다음 5켜는 길이 쌓기를 한다.

[해설작성자 : 초밥]

12. 철골부재의 용접접합 작업 시 활용되는 보강재 또는 부위가 아닌 것은?
     1. 엔드탭
     2. 뒷덮개
     3. 웨브 플레이트
     4. 스캘럽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엔드탭)
* 용접의 시작과 끝에 발생하는 결함부를 처리하기 위한 임시 보조판으로, 용접 종료 후 제거한다.
(뒷댐재)
* 맞댄용접을 한 면으로 실시할 경우 충분한 용입을 확보하고 용융금속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엔드탭 하부에 설치하는 보강재이다
(스캘럽)
* 용접선이 교차되어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한 홈을 말한다.

[추가 해설]
웨브 플레이트는 플레이트보에 사용하는 부재로 전단력의 크기에 따라 두께를 결정하며 보통 9mm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13. 다음 중 개구부 설치에 가장 많은 제약을 받는 구조는?
     1. 벽돌구조
     2. 철근콘크리트구조
     3. 철골구조
     4. 목구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조적구조
* 개요
- 벽돌, 돌, 블록 등의 1차가공된 단위재료를 쌓아 올려서 벽체 등 골조를 구성하는 구조이다.
* 종류
- 벽돌구조, 돌구조, 블록구조 등이 있다.
* 특징
- 조적 단위재료의 접착강도가 클수록 좋다.
- 시공성, 내구성이 우수하다.
- 지진이나 진동 등이 횡력에 약하다.(보강 블록조 제외)
- 개구부 설치에 가장 제약을 받는 구조이다.

14.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배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기둥을 보강하는 세로철근, 즉 축방향철근이 주근이 된다.
     2. 나선철근은 주근의 좌굴과 콘크리트가 수평으로 터져나가는 것을 구속한다.
     3. 주근의 최소개수는 사각형이나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6개,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철근의 경우 4개로 하여야 한다.
     4. 비합성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 단면적은 전체 단면적의 0.01배 이상, 0.08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주근의 최소개수는 사각형이나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4개,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철근의 경우 6개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Samuel]

철근콘크리트구조 기둥의 구조
* 축방향(종방향) 철근이 주근이다
* 띠철근과 나선첡근은 전달력을 부담하고, 주근의 좌굴 및 콘크리트가 수평으로 터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띠철근=대근)
* 횡방향의 보강 철근으로, 주근 주위를 수평으로 둘러 감은 철근이다.
* 원형 및 다각형 기둥에서 주근을 나선형으로 둘러 감은 철근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 비합성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 단면적은 전체 단면적의 0.01배 이상, 0.08배 이하.
[해설작성자 : 고등학생]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4. 비합성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 단면적은 전체 단면적의 0.01배 이상, 0.08배 이하로 하여야 한다.
로 문재가 바뀌어야 하는 것 같네요

15. 길고 가느다란 부재가 압축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부재의 길이에 직각 방향으로 변형하여 내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컬럼 쇼트닝
     2. 응력 집중
     3. 좌굴
     4. 비틀림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컬럼 쇼트닝 : 부재 자체의 수직중량에 의해서 기둥이 부등축소 하는 현상
2. 응력 집중 : 재료에 하중을 같을 때 그 부분에 응력이 국부적으로 크게 되는 현상
4. 비틀림 : 막대 한끝 또는 양끝을 고정하고, 다른 끝에 중심축선과 수직인 면내의 우력을 가했을때 막대 축선 주위에 생기는 회전 변형
[해설작성자 : 하나컴퓨터학원]

16. 옆에서 산지치기로 하고, 중간은 빗물리게 한 이음으로 토대, 처마도리, 중도리 등에 주로 쓰이는 것은?
     1. 엇걸이 산지이음
     2. 빗이음
     3. 엇빗이음
     4. 겹친이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② 두 마구리를 같은 경사로 경사지게 하여 겹쳐 이은 마구리 접합
③ 두 갈래의 촉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비스듬히 물리게 된 이음.
④ 한쪽 마구리의 일부를 다른 쪽 마구리에 겹쳐서 이은 마구리 접합.
[해설작성자 : 하나컴퓨터학원]

[철물을 사용하지 않는 이음]
(주먹장이음)
* 주먹모양으로 한 부재의 끝은 돌출을 시키고 다른 부재의 끝은 파낸 후 끼워서 연결시키는 이음이다.
* 토애, 멍에, 중도리, 도리, 마루대 등에 사용된다.
(엇걸이이음)
* 이음 위치에 산지 등을 박아 매우 튼튼한 이음이다.
* 휨을 받는 가로재의 내이음으로 사용된다.
(엇걸이 산지이음)
* 옆에서 산지치기로 하고, 중간은 빗물리게 한 이음이다.
* 토대, 처마도리, 중도리 등에 사용된다.
(빗이음)
* 경사로 맞대어 잇는 이음이다.
* 서까래, 지붕널 등에 사용된다
(기타)
* 메뚜기장이음, 빗걸이이음, 엇빗이이음, 반턱이음, 은장이음, 턱솔이음 등이 있다.

17. 강구조의 조립보 중 웨브에 철판을 쓰고 상하부에 플랜지 철판을 용접하며, 커버플래이트나 스티프너로 보강하는 것은?
     1. 허니컴 보
     2. 래티스보
     3. 트러스보
     4. 판보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문제의 플랜지 철판을 이용하기 때문에 판보를 이용한다.
③ 강재 등의 단재를 핀 접합으로 세모지게 조립한 트러스 구조의 조립보

[플레이트 보-판보]
* 웨브에 철판을 쓰며, 상하부에 플랜지 철판을 용접하거나 ㄱ형강을 리벳 접합하고 커버 플레이트나 스트프너로 보강한 보이다.
* 스티프너는 웨브의 두께가 춤에 비해서 얇을 때, 웨브의 국부 좌글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 춤은 간사이의 1/10~1/12 정도가 적당하다.
* 플랜지 플레이트의 겹침 수 : 최대 4장 이하
* 형강보다 큰 단면 성능을 가지도록 만들 수 있다.

18. 조적식구조에서 하나의 층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그 바로 윗층에 있는 개구부와의 수직거리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200㎜
     2. 400㎜
     3. 600㎜
     4. 80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조적식 구조 : 주체 구조를 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의 단체의 재료로 겹처 쌓은것 문제는 개구부와 개구부 사이의 최소 거리를 말하고 있음.
[해설작성자 : 하나컴퓨터학원]

[벽돌구조, 돌구조, 블록구조의 개구부]
* 각층의 대린벽을 구획된 벽에서 개구부의 너비의 합계는 그 벽 길이의 1/2 이하로 한다.
* 개구부 위와 그 바로 위의 개구부와의 수직거리는 60cm 이상으로 한다.
* 개구부 상호간 또는 개구부와 대린벽의 중심과의 수평거리는 그 벽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한다.
* 폭이 1.8m를 넘는 개구부의 상부에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인방을 설치한다.

19.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각 철근의 주된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1. 띠철근 : 휨모멘트에 저항
     2. 온도철근 : 균열방지
     3. 후크 : 철근의 정착
     4. 늑근 : 전단보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띠철근 : 철근콘크리트에서 기둥의 주근을 보강하며, 좌굴방지, 간격유지등을 위하여
주근에 직교하여 감아댄 가는 철근
[해설작성자 : 스마일]

[띠철근-대근]
* 철근콘크리트구조 기둥의 횡방향의 보강 철근으로, 주근 주위를 수평으로 둘러 감은 철근이다.
* 전단력을 부담하고, 주근의 좌굴 및 콘크리트가 수평으로 터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 수직 간격은 주근 지름의 16배 이하, 띠철근이나 철선지름의 48배 이하, 기둥 단면의 최소 치수 이하로 하여야 하며 보통 30cm 이하로 한다.

[추가 해설]
휨은 응용역학에서 구조 재료가 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외부의 하중을 받아 휘는 현상을 말한다.
이처럼 휨이 발생하는 (또는 굽힘을 받는) 구조 부재를 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꺼무위키]

20. 보강블록조의 내력벽 구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벽두께는 층수가 많을수록 두껍게 하며 최소 두께는 150㎜ 이상으로 한다.
     2. 수평력에 강하게 하려면 벽량을 증가시킨다.
     3. 위층의 내력벽과 아래층의 내력벽은 바로 위·아래에 위치하게 한다.
     4. 벽길이와 합계가 같을 때 벽길이를 크게 분할하는 것보다 짧은 벽이 많이 있는 것이 좋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벽길이와 합계가 같을 경우 벽길이를 크게 분할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해설작성자 : 하나컴퓨터학원]

[블록조의 내력벽 쌓기]
* 벽 두께는 층수가 많을수록 두껍게 하며 최소 두께는 150mm 이상으로 한다.
* 위층의 내력벽과 아래층의 내력벽은 바로 위, 아래에 위치하게 한다.
* 일반적으로 벽 두께를 늘리는 것보다 벽량을 크게 하는 쪽이 유효하다.
* 긴 벽이 연속된 것이 짧은 벽이 많이 있는 것보다 좋다.
* 보강 블록조는 통줄눈으로 시공해도 무방하다.
* 벽에 철근이 충분히 들어있는 경우에도 테두리보를 두어야 한다.


2과목 : 건축재료


21. 점토에 톱밥이나 분탄 등의 가루를 혼합하여 소성한 것으로 절단, 못치기 등의 가공성이 우수한 것은?
     1. 이형 벽돌
     2. 다공질 벽돌
     3. 내화 벽돌
     4. 포도 벽돌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다공질벽돌)
* 점토에 분탄(탄가루), 톱밥, 겨 등 유기질 가루를 혼합하여 소성한 벽돌이다.
* 비중이 1.2~1.5 정도인 경량벽돌이다.
* 단열, 방음, 흡음성이 좋다.
* 톱질, 못 박음 등 가공성이 우수하다.
* 강도가 약해 구조용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형벽돌)
* 형상 및 치수가 규격과 다른 벽돌로 아치벽돌, 원형벽돌 등이 있다.
(내화벽돌)
* 소성온도(내화도)가 SK 26 이상인 벽돌을 말한다.
(포토벽돌)
* 도로 또는 바닥에 포장하는 용도의 두꺼운 벽돌로 흡수성이 적고 경질이다.

22. 지붕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외관이 좋은 것이어야 한다.
     2. 부드러워 가공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3. 열전도율이 작은 것이어야 한다.
     4. 재료가 가볍고 방수·방습·내화·내수성이 큰 것이어야 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부드러워 가공이 용이한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감자]

23.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초기강도 증진을 위한 시멘트이다.
     2. 급속 공사, 동기 공사 등에 유리하다.
     3. 발열량이 적고 경화가 느린 것이 특징이다.
     4. 수화속도가 빨라 한중 콘크리트 시공에 적합하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증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의 특성

- 수화 작용을 할 때 발열양이 적다.
- 조기강도는 작지만 장기강도는 크다.
- 매스콘트리트라고도 부른다.

- 용도 : 댐축조 및 방사능 차폐용
[해설작성자 : 제성의 해설]

24. 염분이 섞인 모래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에서 가장 염려되는 현상은?
     1. 건조수축 발생
     2. 철근 부식
     3. 슬럼프 저하
     4. 초기강도 저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금속은 염분에 의해 부식이 된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25. 재료의 역학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탄성 : 물체에 외력이 작용하면 순간적으로 변형이 생기지만, 외력을 제거하면 순간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성질
     2. 소성 : 재료에 사용하는 외력이 어느 한도에 도달하면 외력의 증가 없이 변형만이 증대하는 성질
     3. 점성 : 유체가 유동하고 있을 때 유체의 내부 흐름을 저지하려고 하는 내부 마찰저항이 발생하는 성질
     4. 인성 : 외력에 파괴되지 않고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외력에 파괴되지 않고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 -> 연성
외력을 받아 변형을 나타내면서도 외력에 견디는 성질 -> 인성
[해설작성자 : C]

26.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시멘트가 일정한 경우 공기량을 증가시키면 압축강도가 증가한다.
     2. 시공연도가 좋아지므로 재료분리가 적어진다.
     3. 동결융해작용에 의한 마모에 대하여 저항성을 증대시킨다.
     4. 철근에 대한 부착강도가 감소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동일 물시멘트비인 경우 압축강도가 저하된다
[해설작성자 : A 1-2-3]

27. 일반적으로 창유리의 강도가 의미하는 것은?
     1. 휨강도
     2. 압축강도
     3. 인장강도
     4. 전단강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유리의 강도는 휨강도를 말하며
[해설작성자 : 신영현]

28. 목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목재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질의 평균적인 진비중 값으로 옳은 것은?
     1. 0.5
     2. 0.67
     3. 1.54
     4. 2.4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목재의 공극이 전혀 없는 상태의 비중을 말하며 세포자체의 비중은 수종에 관계없이 1.54이다.
[해설작성자 : 신영현]

29. 다음 중 오르내리창에 사용되는 철물은?
     1. ① 나이트 래치(night latch)
     2. 도어 스톱(door stop)
     3. 모노 로크(mono lock)
     4. 크레센트(crescent)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크레센트 : 오르내리창, 미서기창
[해설작성자 : 인디고]

나이트래치: 밖에서 열쇠를 사용해야 열리는 창호의 철물
도어스톱: 여닫이문의 열린 위치를 고정하는 철물
모노로크: 문 손잡이 내부의 실린더를 사용한 잠금장치
크레센트: 오르내리창 또는 미서기창용의 잠금 철물

30. 집성목재의 장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목재의 강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2. 응력에 따라 필요한 단면을 만들 수 있다.
     3. 길고 단면이 큰 보재를 간단히 만들 수 있다.
     4. 톱밥, 대패밥, 나무 부스러기를 이용하므로 경제적이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번은 인조목재에 대한 정의이다
[해설작성자 : DAN]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오타
보재X  부재O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31. 다음 소지의 질에 의한 타일의 구분에서 흡수율이 가장 큰 것은?
     1. 자기질
     2. 석기질
     3. 도기질
     4. 클링커타일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바탕을 잘 구워 다진 경질이며 다공질인 것으로 품질은 뒤지지만 흡수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클잉커 타일은 석기질이다.
토-도-석-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시멘트 제조할 때 최고온도까지 소성이 이루어진 후에 공기를 이용하여 급랭시켜 소성물을 배출하게 되면 화산암과 같은 검은 입자가 나오는데 이 검은 입자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포졸란
     2. 시멘트 클링커
     3. 플라이애시
     4. 광재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시멘트클링커 / 석회질 및 점토질 원료를 분쇄 후 적당한 비율로 조합해 충분히 혼합한 후 소성하여 급랭시킨 검은 입자의 소성물을 뜻한다.
[해설작성자 : 블정]

33. 한국산업표준의 분류에서 토목건축부문의 분류기호는?
     1. B
     2. D
     3. F
     4. H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F는 토목 B는 기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익명의 제보자.]

B 는 기계, D는 금속, F는 건설, H는 식료품 부문이다.
[해설작성자 : 레미]

34. 래커를 도장할 때 사용되는 희석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유성페인트
     2. 크레오소트유
     3. PCP
     4. 시너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래커(Lacquer): 유성 페인트의 한 종류. 넓게는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용제로 한 모든 도료를 통칭하지만, 흔히 이를 분사하여 사용하는 스프레이 캔을 지칭한다. '라카' 혹은 '락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희석제는 락카 신너를 사용한다.
도료에서는 거의 꿈의 재료로 손꼽히지만 다른 유성 도료보다 도포 후 수정, 제거가 어렵다는 것과 에나멜처럼 락카 신나에 녹아버리는 도막 위에는 덧칠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신너(Thinner):미술 작업이나 도장 작업에서 페인트를 칠할 때 도료를 희석하여 작업하기 좋은 상태로 유지. 흔히 '신나' 등으로 부르고 있으나 이는 일본어의 잔재로 표준어는 아니다. [출처: 나무위키]
[해설작성자 : Cara]

35. 재료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열팽창계수란 온도의 변화에 따라 몸체가 팽창·수축하는 비율을 말한다.
     2. 비열이란 단위 질량의 물질을 온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3. 열용량은 몸체에 열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말한다.
     4. 차음률은 음을 얼마나 흡수하느냐 하는 성질을 말하며, 재료의 비중이 클수록 작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차음률 : 음을 차단하는 정도
[해설작성자 : DAN]

차음률: 그 수치만큼 소음을 줄여준다는 뜻
[해설작성자 : 수염]

36. 회반죽 바름에서 여물을 넣는 주된 이유는?
     1.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2. 점성을 높이기 위해
     3. 경화속도를 높이기 위해
     4.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회반죽의 특징
여물을 사용해 균열을 분산,경감시킨다

37. 경질 섬유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식물 섬유를 주원료로 하여 성형한 판이다.
     2. 신축의 방향성이 크며, 소프트 택스라고도 한다.
     3. 비중이 0.8 이상으로 수장판으로 사용된다.
     4. 연질, 반경질 섬유판에 비하여 강도가 우수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목재,짚 등의 각종 식물섬유를 주원료로 하여 판자 모양으로 접착, 제판한 인공재료.

일반적으로 흡음성, 단열성이 우수하고 재료에는 방향성이 없어 사용하기가 쉬우며,
원료도 폐재를 이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벽재, 천장판 등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서니]

간단하게 이해 쉽게
2번에
연질섬유판: 신축의 방향성이 크다.
경질섬유판: 신축의 방향성이 작다.

38. 다음 건축재료 중 천연재료에 속하는 것은?
     1. 목재
     2. 철근
     3. 유리
     4. 고분자재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천연재료:목재,석재,토벽 등
인공재료:금속제품, 요업제품, 석유제품 등

39. 다음 그림이 나타내는 창호 철물은?

    

     1. 경첩
     2. 도어클로저
     3. 코너비드
     4. 도어스톱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도어클로저:열린 문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개폐조절기

40. 석재의 성인에 의한 분류 중 수성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암
     2. 이판암
     3. 석회암
     4. 안산암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수성암 : 사암 이판암 석회암 응회암
화성암 : 화강암 안산암 감림석 화산암
변성암 : 대리석 사문석
[해설작성자 : 꼭 합격 ]



3과목 : 건축계획 및 제도


41. 기온·습도·기류의 3요소의 조합에 의한 실내 온열감각을 기온의 척도로 나타낸 것은?
     1. 유효온도
     2. 작용온도
     3. 등가온도
     4. 불쾌지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유효온도: 기온, 습도, 기류의 조합
작용온도: 기온, 주위 복사열, 기류의 조합
등가온도: 기온, 습도, 기류, 주위 복사열의 조합
불쾌지수: 기온, 습도의 조합
[해설작성자 : 레미]

42. 배수 트랩의 봉수 파괴 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증발
     2. 간접배수
     3. 모세관 현상
     4. 유도 사이펀 작용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봉수파괴의 원인으로는 사이펀작용,분출작용,모세관현상,증발작용,관성작용이 있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 배수 트랩의 봉수 파괴 원인
- 자기사이펀 작용
- 유도사이펀 작용
- 배압에 의한 분출작용
- 모세관 작용
- 봉수의 증발현상
- 자기 운동량에 의한 관성
[해설작성자 : 초밥]

43. 주택의 식당 및 부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식당의 색채는 채도가 높은 한색계통이 바람직하다.
     2. 식당은 부엌과 거실의 중간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3. 부엌의 작업대는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의 순서로 매치한다.
     4. 키친네트는 작업대 길이가 2m 정도인 소형 주방가구가 배치된 간이 부엌의 형태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식당의 색채는 채도가 높은 난색계통이 바람직하다
한색-파랑 하늘 검정 회색 ..
난색-빨강 노랑 주황..
[해설작성자 : 인디고 건축과 (내가인테리어디자이너가되길..)]

44. 건축도면의 표시기호와 표시사항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V – 용적
     2. Wt - 너비
     3. ø - 지름
     4. THK - 두께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Wt : 무게
W : 폭
[해설작성자 : 한지현]

3번은 지름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정확히는 원형철근의 지름을 나타냅니다.
D도 지름이 맞고 이형 철근을 나타냅니다.
결국 크게 봤을때 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두개입니다.
[해설작성자 : 부산부경목탱]

45. 동선계획에서 고려되는 동선의 3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길이
     2. 빈도
     3. 하중
     4. 공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동선의 3요소 - 1)길이(속도) 2)빈도 3)하중
[해설작성자 : ^ㅡ^]

46. 다음 중 단면도를 그릴 때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1. 지반선의 위치를 결정한다.
     2. 마루, 천장의 윤곽선을 그린다.
     3. 기둥의 중심선을 일점쇄선으로 그린다.
     4. 내·외벽, 지붕을 그리고 필요한 치수를 기입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단면도 그리는 방법
㉠ 단면도의 크기를 고려하여 도면의 배치를 정한다.
㉡ 지반선과 기준선의 위치를 결정하고 기둥이나 벽의 중심선을 일점쇄선으로 긋는다.
㉢ 지반선에서 각 부분의 높이, 바닥판의 두께를 가는 선으로 긋는다.
㉣ 기둥과 벽의 중심에서 기둥과 벽의 크기를 그리고, 창틀과 문틀 등의 위치를 결정한다.
㉤ 창대, 문 등의 내외벽을 그려 놓고 지붕을 그린다.
㉥ 바닥면에서 각 부분의 천장 높이를 정하여 그리고, 계단이나 난간을 그린다.
㉦ 재료명과 치수를 적절히 배치하여 기입한다.
㉧ 도면에 제목과 축척을 기입한다.
[해설작성자 : 건축과 가고 싶다!]

47. 창호의 재질별 기호가 옳지 않은 것은?
     1. W : 목재
     2. SS : 강철
     3. P : 합성수지
     4. A : 알루미늄합금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SS는 Stainless Steel임

S : 강철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인데 합격하고싶은사람]

48. 주택의 침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린이 침실은 주간에는 공부를 할 수 있고, 유회실을 겸하는 것이 좋다.
     2. 부부침실은 주택 내의 공동 공간으로서 가족생활의 중심이 되도록 한다.
     3. 침실의 크기는 사용인원 수, 침구의 종류, 가구의 종류, 통로 등의 사항에 따라 결정된다.
     4. 침실의 위치는 소음의 원인이 되는 도로 쪽은 피하고, 공원 등의 공지에 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부부침실은 개인공간이다
[해설작성자 : 내일 모레 시험]

49. 부엌의 일부에 간단히 식당을 꾸민 형식은?
     1. 리빙 키친(living kitchen)
     2. 다이닝 포치(dining porch)
     3. 다이닝 키친(dining kitchen)
     4. 다이닝 테라스(dining terrace)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다이닝 키친은 부엌의 일부분에 식사실을 두는 형태로서 동선의 연결이 짧아 노동력이 절감되며 단점으로는 부엌에서의 조리작업 및 음식 찌꺼기 등으로 식사분위기를 다소 해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영어로 다이닝(식사) + 키친(주방)
[해설작성자 : 신라공고]

50. 건축도면에서 치수 단위의 원칙은?
     1.
     2.
     3. m
     4.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건축도면에서 치수단위는 mm를 원칙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51.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엘리베이터 관련 용어는?

    

     1. 승차시간
     2. 일주시간
     3. 주행시간
     4. 서비스시간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52.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전기 관련 용어는?

    

     1. 절연
     2. 접지
     3. 피뢰
     4. 피복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접지: 감전등의 전기사고를 예방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이오리]

53. 일반 평면도의 표현 내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실의 크기
     2. 보의 높이 및 크기
     3. 창문과 출입구의 구별
     4. 개구부의 위치 및 크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실의 배치와 면적,개구부의 위치 및 규모,창문과 출입구의 구분등이 표현된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54. 건축법령상 공동주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숙사
     2. 연립주택
     3. 다가구주택
     4. 다세대주택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건축물의 요도분류
1. 단독주택 -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2. 공동주택 - 아파트(주택으로쓰이는 층수가 5개층이상), 연립주택(660m2를 초과하고 4개층 이하), 다세대주택(660m2이하 층수가 4개층이하), 기숙사
[해설작성자 : 부천중앙직업전문학교]

55. 다음 중 아파트의 평면형식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홀형
     2. 복도형
     3. 탑상형
     4. 집중형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아파트의 분류
홀형, 복도형(편복도형, 중복도형), 집중형이 있으며
층수별로 저층형(5층높이), 고층형(7-14층)
초고층 아파트는 15층이상을 뜻하고 있읍니다.
[해설작성자 : 마른수리]

56. 다음 중 건축도면 작도에서 가장 굵은 선으로 표현하는 것은?
     1. 인출선
     2. 해칭선
     3. 단면선
     4. 치수선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단면선 해칭선 인출선 치수선 순으로 굵음
[해설작성자 : 셰미슐츠]

57. 공기조화방식 중 팬코일 유닛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공기방식에 속한다.
     2. 각 실에 수배관으로 인한 누수의 우려가 있다.
     3. 덕트 방식에 비해 유닛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다.
     4. 유닛을 창문 밑에 설치하면 콜드 드래프트를 줄일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전공기 방식 : 단일덕트 방식, 2중덕트 방식, 멀티존 유닛방식
전수 방식 : 유인 유닛 방식, 외기 덕트 병용, 팬코일 유닛 방식
[해설작성자 : 합격을 기원합니다]

58. 색의 시각적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시도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것은 채도차이다.
     2. 일반적으로 고명도, 고채도의 색이 주목성이 높다.
     3. 고명도, 고채도, 난색계의 색은 진출, 팽창되어 보인다.
     4. 명도가 높은 색은 외부로 확산되려는 현상을 나타낸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명시도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것은 명도차이다

59. 액화석유가스(LP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보다 가볍다.
     2. 용기(bomb)에 넣을 수 있다.
     3. 가스 절단 등 공업용으로도 사용된다.
     4. 프로판 가스(propane gas》라고도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LPG는 공기보다 무겁다
[해설작성자 : Stanley]

60. 디자인의 기본 원리 중 성질이나 질량이 전혀 다른 둘 이상의 것이 동일한 공간에 배열될 때 서로의 특질을 한층 돋보이게 하는 현상은?
     1. 대비
     2. 통일
     3. 리듬
     4. 강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 04월 02일(2회)(803571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30 계리직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3월 03일(234451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3
362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6월 25일(468618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0
3628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5월 29일(3165442)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1
3627 9급 지방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6월 13일(643979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46
3626 9급 국가직 공무원 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4월 18일(7094501) 좋은아빠되기 2022.07.06 33
3625 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8월 22일(861600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52
3624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 04월 10일(2951735)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5
3623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9월 27일(5회)(2407195) 좋은아빠되기 2022.07.06 43
3622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 01월 27일(1회)(360010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4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4월 02일(2회)(803571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448
36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6월 13일(488921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3
361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6월 25일(49681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6
3618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3월 01일(287319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32
361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6월 23일(5133376)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0
3616 제품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 05월 23일(6990136)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7
3615 변리사 1차(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5월 30일(7893130)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8
3614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2년 03월 04일(6817841)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87
3613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 03월 16일(2662542)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5
3612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3월 01일(3730548) 좋은아빠되기 2022.06.15 436
3611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6월 15일(2450531) 좋은아빠되기 2022.06.15 134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