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1과목 : 사진일반


1. 다음 중 재해발생 원인이 물적 요인으로 발생된 것은?(문제 내용이 정확하지 않는것 같스비다. 사진기능사와 관련없지 싶네요.ㅎㅎㅎ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문제와 보기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1. 방호조치의 결함
     2. 보호구의 미착용
     3. 안전장치의 기능 제거
     4. 운전 중인 기계장치의 손질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방호-어떤공격이나 해로부터 막아 지켜서 보호함

물적요인-뷸안전한 상태
인적요인-불안전한 행동

[추가 해설]

2과목 사진재료 및 현상 - 2장 안전관리에 나와있는 내용입니다.

재해발생의 원인
1. 직접원인 -> 물적요인(불안전 상태), 인적요인(불안전행동)
2. 간접원인 -> 관리적 원인, 기술적 원인, 교육적 원인, 신체적 원인, 정식적 원인
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호수남]

[추가 해설]

사진기능사 필기 출제기준 주요항목 '5.안전관리' 중 세부항목 '1.일반안전관리' 세세항목 중 '1.산업일반 안전관리'에 관한 문제입니다.
추가해설에서 이미 지적되어 있긴 하지만, 문제 자체에서 삭제하는 것을 건의 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김양성(뷰사진학원 홍대점 구직자과정)]

[관리자 입니다.
삭제는...좀 그렇고 일단 그냥 두겠습니다. ㅎㅎㅎ]

물적요인-
물 자체의 결함 ,안전보호장치의 결함, 복장,보호구의 결함
물의 배치 및 작업장소의 결함, 작업환경의 결함, 생산공정의 결함
경계표시 설비의 결함,

인적요인-
안전장치의 기능 제거, 복장,보호구의 미착용 및 잘못된사용,
불안전한 조작, 불안전한 자세 및 위치, 위험장소 접근
결함 있는 장비 공구 차량등의 사용, 위험물의 취급 부주의
불안전한 상태 방치,권한 없이 행한 조작,당황 놀람 잡담 장난 등,
감독 및 연락 불충분

2. 가이드넘버가 40일 때 5m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려 한다면, 별다른 조건이 제시되지 않을 경우 일반적인 조리개 수치는?
     1. f/2.8
     2. f/4
     3. f/8
     4. f/16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가이드 넘버가 40일때 5m에 있는 피사체 촬영시 조리개 수치
40 / 5 = 8
조명거리 * 적정 조리개 값 = 가이드 넘버
가이드넘버 / 촬영거리 = 적정 조리개 값
가이드넘버 / 적정 조리개 값 = 촬영거리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3. 색의 명시성(明視性)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색상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2. 명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3. 주위 색과는 관계없이 독립적이다.
     4. 황색 배경에 검정 글씨는 황색 배경에 적색 글씨보다 명시성이 낮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명시성 -두 색을 배색하였을 때 멀리서 구별되어 보이는 정도로서 명도와 색상 차가 클수록 명시도가 높아진다. 명시도는 그 색 고유의 특성보다 배경과의 관계에 의하여 높아지거나 낮아진다.

명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4. 국제조명위원회에서 제시한 것으로, 색의 전달을 위해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측색법, 표색기호법, 색명법 등 색을 표시하는 색체계는?
     1. CIE 표색계
     2. PCCS 표색계
     3. ISO 표색계
     4. ASA 표색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국제 조명 위원회(영어: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프랑스어: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éclairage)는 빛, 조명, 빛깔, 색 공간을 관장하는 국제 위원회이다. 1913년에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Photométrie의 뒤를 이어 설립되었으며 오늘날 빈에 위치해 있다. 프랑스어 명칭을 따라 CIE로 줄여 쓰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poor2002]

5. 컬러 필름은 색온도에 따라 각각 특유의 색상으로 감색된다. 다음 중 가장 낮은 색온도를 나타내는 광원은?
     1. 맑은 날의 야외광선
     2. 흐린 날의 야외광선
     3. 백열전구나 촛불
     4. 눈, 비오는 날의 야외광선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색 온도로 측정하게 되는데 1번부터 보면
1. 맑은날의 야외광선 - 5500K~6000K
2. 흐린날의 야외광선 - 7000K~8000K
3. 백열전구나 촛불 - 1000K~2500K
4. 눈,비오는날의 야외광선 - 10000K~12000K
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6. 색온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K로 표시한다.
     2. 붉은 계층의 색은 색온도가 낮다.
     3. 푸른 계층의 색은 색온도가 높다.
     4. 색온도는 날씨에 상관없이 변하지 않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3%
     <문제 해설>
색온도의 설명으로 틀린것은?
1. K로 표시한다 (색온도는 K 켈빈으로 표기합니다.)
2. 붉은계층의 색은 색온도가 낮다 ( 사실입니다 촛불,백열등 1000K~2500K )
3. 푸른계층의 색은 색온도가 높다 ( 사실입니다 밝은하늘 5500K~6000K )
4. 색온도는 날시에 상관없이 변하지 않는다. (틀렸습니다. 흐린날 색온도 7200K~ 8500K 맑은날 색온도 5500K~6000K )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7. 다음 중 사진 폐액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1. 사진 폐액 중에서 유해 성분을 제거한다.
     2. 수세조의 처리액 유출을 감소시킨다.
     3. 알카리성 폐액은 산성으로 만들어 처리한다.
     4. 사용이 끝난 폐액은 수거 후 재생하여 재이용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8. 가산혼합 색채시스템에 사용되는 세 가지 원색들을 모두 같은 양으로 섞으면 어떤 색이 되는가?
     1. 검정
     2. 노랑
     3. 흰색
     4. 마젠타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가산혼합 - 빛의 삼원색인 RGB를 더하는것
R+G = Y
R+B = M
G+B = C
R+G+B = W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추가 해설]
1번의 검정색은 감산혼합 결과로 나타나는 색입니다.
가산혼합=rgb <- 빛의 삼요소로 혼합 시 흰색
감산혼합=cmy <- 색의 삼요소로 혼합 시 검은색
[해설작성자 : 김성훈짱]

9. 초기 사진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명 초기의 사진은 감광시간이 길었다.
     2. 롤필름의 개발오 사진이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3. 칼로타입은 다게레오타입에 비해 노출시간이 단축되었다.
     4. 다게레오타입은 칼로타입에 비해 다량으로 인화를 할 수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다게레오타입 - 선명한 1장의 화상 제작
칼로타입 - 다량 인화 가능
[해설작성자 : 한방에합격]

10. 에드워드 마이브리찌가 사진사에 남긴 업적은?
     1. 명함판 사진의 대량 보급에 큰 기여를 했다.
     2. 다게레오타입에 염화금을 써서 사진적인 효과를 높였다.
     3. 카메라 루시다를 발명하여 여행자들의 스케치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하게 했다.
     4. 말의 갤롭 등 동물의 동작과 인체의 동작을 연속 촬영하여 정확한 동작의 표현을 한 자료집을 만들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에드워드 마이브리지[ Eadweard Muybridge ] 1830. 4. 9. ~ 1904. 5. 8.

영국출신의 미국 사진가. '무이브리지'라고도 읽는다. 킹스턴 온 템스에서 출생, 그곳에서 사망. 1852년에 도미, 생애의 대부분을 미국에서 창작활동에 바쳤다. 고속도 사진기를 써서 인간과 동물, 새 등의 동작이나 운동의 연속사진을 촬영, 육안으로는 판별하기 힘든 동작 중의 연속적인 순간의 상태를 해명했다. 그것들은 자주 그래프에 의해서 나타내졌다. 11권에 이르는 이러한 기록은 1887년에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출판되었다. 이킨즈는 그와 공동작업을 벌였으며, 또한 프랑스에서는 마레(Etienne Jules Marey, 1830~1904)가 같은 실험을 하고 있다. 이들 세 사람의 이미지는 로댕, 뒤샹, 프란시스 베이컨 등 화가·조각가에게도 영향을 주었고, 미래파의 출현에도 큰 영향력을 끼쳤다.
[네이버 지식백과] 에드워드 마이브리지 [Eadweard Muybridge] (미술대사전(인명편), 1998.,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해설작성자 : 김양성(뷰사진학원 홍대점 구직자과정)]

11. 적외선 사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하늘이 희게 표현된다.
     2. 먼 경치가 뚜렷하게 표현된다.
     3. 컬러 적외선 촬영 시 적외선은 Blue로 표현된다.
     4. 흑백 적외선 촬영 시 No.12 짙은 노란색 필터를 사용하여 촬영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적외선이 공기 속의 수증기나 먼지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직진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풍경이나 산악사진에서 원거리를 선명하게 찍는 데 사용된다.

[오답 피하기]
1.하늘과 같은 부분은 적외선을 흡수하여 어둡게 나타난다.
3.컬러 적외선 사진에서 나뭇잎들은 전부 적외선 특유의 붉은 색을 띈다.
4.적외선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청색광을 흡수 차단하는 Red 필터가 필요하다. 흑백 적외선 필름의 경우 필터없이 촬영하면 일반 흑백필름과 거의 다를게 없이 나타난다. 원경 촬영의 경우 공기중에 있는 먼지, 아지랑이, 안개 등과 함께 파장이 짧은 단파장의 산란에 선명도가 떨어지는 헤이즈 현상이 일어나 일반 필름으로 촬영시 원경의 선명도가 떨어지고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 그러나 적외선 필름에 Red 필터를 사용하면 단파장을 제거함으로써 선명도와 콘트라스트를 높여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김양성(뷰사진학원 구직자과정)]

12. PCCS 표색계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색채관리 및 조색, 색좌표의 전달에 적합하다.
     2. 색채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톤과 색조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3. 1964년 캐나다 색채연구소가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발표하였다.
     4. PCCS는 색채 조화를 주목적으로 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일본 색채 연구소가 1964년에 일본 색연 배색 체계(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의 이름으로 발표한 것으로, 색채 조화를 주목적으로 한 컬러 시스템이다.
[해설작성자 : 김양성(뷰사진학원 홍대점 구직자과정)]

13. 다음 중 플래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동플래시는 자동으로 노출을 조절한다.
     2. 수동노출로 플래시를 사용할 때는 셔터로 광량을 조절한다.
     3.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플래시벌브는 요즘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4. 플래시 노출계는 스뉴디오 사진가나 다른 전문가들에 의해서 자주 사용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14. 1880년 세계 모든 문명국 사람들에게 사진과 친근하도록 핸드카메라와 롤필름을 만든 사람은?
     1. 이스트먼
     2. 탈보트
     3. 토페노
     4. 에디슨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880년대에 조지 이스트먼이 롤필름을 발명하고 코닥이라는 회사를 세웠다. 작은 카메라를 사서 셔터만 누르고 현상소에 맡기면 끝. 누구나 사진을 찍는 시대가 왔다.

15. 파랑 조명을 이용하여 빨간색 사과를 촬영할 때, 다음 중 우리 눈에 보이는 빨간색이 변화하여 함께 나타나는 색으로 가장 가까운 색은?
     1. 빨간색
     2. 흰색
     3. 노란색
     4. 검정색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빨간색 물체는 빛 중에서 빨간색 파장만 반사되고 나머지 색 파장은 물체가 흡수하기 때문에 빨갛게 보이는 것이다.

빨간색 사과에 파란색을 비추면 사과가 파란색 파장의 빛을 흡수해버려 반사되는 빛이 없기 때문에 검정색으로 보인다.
[해설작성자 : 김양성(뷰사진학원 홍대점 구직자과정)]

16. 디지털 카메라의 화질의 속성과 사진의 느낌을 조절할 수 있는 변수(파라미터, parameter) 중 질감의 표현 정도를 결정하는 변수로서 노이즈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1. 콘트라스트(contrast)
     2. 선예도(sharpness)
     3. 채도(saturation)
     4. 컬러 톤(color tone)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17. 컬러 매니지먼트 시스템(Color management system)을 모니터에 적용하기 위한 단계로서 모니터를 기준에 맞게 화이트밸런스, 밝기, 콘트라스트 등을 조절하는 과정은?
     1. 그라데이션(Gasdation)
     2. 인포메이션(Information)
     3.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4.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18. 네거티브 컬러사진 인화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흰색광선에 적당한 농도의 노랑, 마젠타, 푸른색의 감색필터를 넣어서 색조를 조절한다.
     2. 올바른 노광 프린트를 얻기 위해 칼라 밸런스를 정하는 시험인화를 할 필요가 있다.
     3. 감법혼색의 원리는 백색광선으로부터 3원색을 분리해서 제거하는 것이다.
     4. 인화 시 인화지의 3가지 유제층을 하나씩 순서대로 3색의 필터를 통해 노광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0%

19. 컬러 네거티브 필름의 현상 처리 과정으로 옳은 것은?
     1. 발색 현상→표백→제1수세→정착→제2수세→안정→건조
     2. 발색 현상→정착→제1수세→표백→제2수세→안정→건조
     3. 발색 현상→정착→제1수세→표백→제2수세→건조→안정
     4. 발색 현상→정착→제1수세→제2수세→표백→안정→건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20. 컬러사진에 필요한 색소화상만을 남기기 위하여 은을 할로겐화은으로 산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처리과정은?
     1. 현상
     2. 표백
     3. 정착
     4. 발색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표백에 대한 설명이다.
표백에 대해 보충하자면, 발색현상과정에서, 커플러(발색제)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 검정색 입자인 흑화은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발색현상과정 후의 필름은 흑백화상이 컬러화상을 가리고 있게 된다. 이 흑백화상을 지우기 위해서 흑화은을 불용성 화합물로 변화,
정차과정에서 색소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은입자를 용해시킬 수 있도록 흑화은을 취화은으로 치환하는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방송대 미디어영상학과 김태기]


2과목 : 사진재료 및 현상


21. 현상처리 과정에서 약품이 유제면에 골고루 반응하도록 탱크나 감광재료를 흔들어주는 것은?
     1. 정착
     2. 수세
     3. 건조
     4. 교반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22. 감도가 ISO 400인 필름을 ISO 1600으로 촬영하였다. 이렇게 고유 감도보다 높게 설정해서 촬영한 후 현상에서 조절하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감감법
     2. 증감법
     3. 보력법
     4. 감력법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감도가 늘었기때문에.
1.감감법 (감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2.증감법 (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3.보력법 (힘을 보충해주는 방법?)
4.감력법 (힘을 감소시키는 방법?)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보력법은 현상처리 후 필름의 농도가 지나치게 연할 때 농도를 높이기 위한 처리과정이고 감력법은 현상처리 후 필름의 농도가 지나치게 진할 때 농도를 낮추기 위한 처리과정입니다
[해설작성자 : 군무원 준비생]

23. 비트맵 이미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트심도 정보를 가진 픽셀로 구성 되어있다.
     2. 확대하면 정사각형의 픽셀이 모자이크처럼 구성 되어있다.
     3. 해상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단위로 PPI를 사용한다.
     4. 좌표 값으로 점을 만들고 점과 점사이의 좌표 값의 함수로 선을 만든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비트맵 이미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비트심도 정보를 가진 "픽셀"로 이루어져있으니 사실
2.bmp 파일을 확대하면 모자이크처럼 깨지는것이니 사실
3.해상도를 나타내는건 ppi(pixels per inch)나타냄 점으로 이루어져있어서.
4.좌표값으로 점을 만들고 점과 점사이의 함수로 선을 만드는것은 벡터 이미지.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24. 현상주약이 공기 중의 산소로 인해 산화되는 것을 막는 것은?
     1. 촉진제
     2. 억제제
     3. 보항제
     4. 급성현상주약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촉진제(Accelerator)
젤라틴막을 연하게 만들고 현상주약의 환원 작용을 왕성하게 하는 현상조약으로 주로 알칼리류인 탄산소다, 붕사, 붕산, 코달크 등이 이에 쓰인다.
보항제(Preservativer)
현상주약과 알칼리만을 쓰면 공기 중의 산소로 말미암아 산화되어 너무 빨리 약효를 잃게 되므로 이 산화를 막고 현상이 고르고 완전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현상액에 더해지는 현상 보조약이 곧 보항제인데 이에는 주로 아황산소다가 쓰여진다.
억제제(Restrainer)
현상작용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것을 막고 포그(fog)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현상 조제로 주로 취화칼륨과 요오드화칼륨이 이 목적으로 쓰여진다.
[해설작성자 : http://www.meechu.co.kr/B&W/development/development_chemical_developer.php]

25. 다음 감광재료 중 일반적으로 해상력이 가장 좋은 필름은?
     1. ISO 32
     2. ISO 400
     3. ISO 800
     4. ISO 160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ISO 즉 감도가 높아 질수록 노이즈가 많이 끼고 해상도가 안좋아 진다.

26. 필름을 매달아 건조시킬 때 물방울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여 물얼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품은?
     1. 감력제
     2. 보력제
     3. 촉진제
     4. 수적방지제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27. CMS(Color Management System)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장비의 성능을 향상 시킨다.
     2. 쉽고 정확한 색상교정을 할 수 있다.
     3. 다양한 매체들의 컬러를 일관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
     4. 예측이 가능한 컬러를 재현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28. ACR(Adobe Camera Raw 5.6) 프로그램에서 노출과 농도를 조절하는 메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lacks - 사진 이미지의 어두운 영역을 더욱 진하게 조절한다.
     2. Exposure - 사진 이미지 전체의 밝기를 조절한다.
     3. Recovery - 사진 이미지의 중간 농도를 조절한다.
     4. Fill Light - 사진 이미지의 어두운 영역 세부묘사를 조절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복구(Recovery) - 사진의 하이라이트 부분이 너무 날아갔을때 조정해 준다.
[해설작성자 : 김양성(뷰사진학원 홍대점 구직자과정)]

29. 어도비 포토샵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파일형식이며, 포토샵에서 작업한 정보(레이어, 기준선, 채널, 패스 등)가 함께 저장되어 편리하지만 용량이 크고 호환성이 없는 파일 형식은?
     1. BMP
     2. PSD
     3. PNG
     4. JPG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포토샵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파일형식
1.bmp (Basic Multilingual Plane) 비트맵 이미지 - 그림판
2.psd (Photoshop document) 포토샵 도큐먼트 - 포토샵
3.png (Portable Network Graphic) 비손실 그래픽 파일 - 그림판
4.jp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압축률이 좋은 그래픽 파일 - 그림판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30. 메타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메타데이터에는 추가입력이 불가능하다.
     2. 촬영날짜도 메타데이터의 일부이다.
     3. 파일을 카피할 경우 메타에이터는 새로운 파일에 옮겨지지 않는다.
     4. 저작권이나 연락 정보 등은 첨부되지 않는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31. 이안반사식 카메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용하면 견고하다.
     2. 대부분 렌즈 교환이 가능하다.
     3. 일반적으로 6×6cm 포맷을 사용한다.
     4. 다른 중형카메라보다 일반적으로 저렴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렌즈 교환이 가능한 것은 일안반사식 카메라이다.

32. 렌즈에 평행 광선이 입사될 때 광축에서 가까운 곳과 먼 곳의 입사각 차이로 발생하는 수차로 대구경 렌즈나 광각 렌즈에서 영향이 큰 것은?
     1. 구면 수차
     2. 코마 수차
     3. 비점 수차
     4. 왜곡 수차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렌즈에 평행 광선이 입사될때 거리의 입사각 차이로 발생하는 수차
1.구면수차는 평행 광선이 광축에서 멀어지는 데에 따라 초점을 맺는 위치가 앞뒤에서 어긋나는 현상
2.렌즈의 중심 부근을 통하는 빛은 대체로 1점에 집속되는데, 중심에서 떨어질수록 넓은 범위로 분포하게됨
3.렌즈가 정확하게 회전 대칭으로 되어 있지 않을 때 방향에 따라서 초점이 일치하지 않고 생기는 수차
4.왜곡수차는 초점이 한 점에 맺히지 않는 것은 아니며, 상의 전체적인 모습과 관련이 있음.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33. 카메라 셔터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촬영 범위 결정
     2. 색 재현의 변화
     3. 빛을 받아들이는 시간 조절
     4.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빛을 모아 초점면에 영상 형성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셔터의 기능.
1.촬영범위 결정 - 렌즈의 화각
2.색재현의 변화 - ccd
3.빛을 받아드리는 시간조절 - 카메라 셔터
4.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빛을모아 초점면에 영상형성 - ccd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34. 화면의 여러 영역들을 개별적으로 측광한 다음 카메라의 메모리에 프로그램 되어 있는 패턴에 따라 노출을 판단하는 노출계의 종류는?
     1. 스포트 노출계
     2. 평균식 노출계
     3. 다중 분할식 노출계
     4. 중앙부 중점 측광식 노출계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노출계의 종류
1.스포트 노출계 - 좁은부분의 한곳의 노출을 판단
2.평균식 노출계 - 이미지 영영 전체의 노출을 측정후 평균치를 계산
3.다중분할식 노출계 - 개별측정후 패턴에 따라 노출을 판단
4.중앙부 중점 측광식 노출계 - 프레임 중앙부분에 밝기를 가장 비중있게 측정.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35. 렌즈 광축에 평행한 광선을 투사했을 때 조리개 구경을 통과하는 렌즈 앞부분의 지름은?
     1. 유효구경
     2. 실효구경
     3. 광학구경
     4. 렌즈구경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36. 화각이 180° 이상인 초광각 렌즈로, 카메라 가까이에 있는 물체와 멀리 있는 물체의 크기 차이를 극단적으로 강조하여 적절하게 사용하면 재미있는 화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수 렌즈는?
     1. 줌 렌즈
     2. 어안 렌즈
     3. 매크로 렌즈
     4. 소프트 포커스 렌즈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줌렌즈 - 초점이나 조리개값이 변하지 않은 채로 초점거리를 연속해서 바꿀 수 있는 렌즈
2. 어안렌즈 - 화각이 180°를 넘는 초광각 렌즈
3. 매크로 렌즈 - 주로 접사를 촬영하기 위해 설계된 렌즈
4. 소프트 포커스 렌즈 - 부드러운 느낌의 화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한 렌즈
[해설작성자 : 푸른별빛]

37. 뷰 카메라의 무브먼트 중 카메라의 프론트와 백을 수직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비트는 것은?
     1. 라이즈(rise)
     2. 폴(fall)
     3. 틸트(tilt)
     4. 스윙(swing)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무브먼트의 기본 동작>
1. 라이즈(Rise)와 폴(Fall) -> 렌즈 또는 필름 부분을 위쪽 또는 아래쪽 방향('수직방향')으로 평행이동 시키는 동작.
2. 시프트(Shift) -> 프런트와 백을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
3. 틸트(Tilt) -> 프런트와 백을 '앞뒤로 기울이는' 동작.
4. 스윙(Swing) -> 프런트와 백을 '수직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비트는' 동작.
[해설작성자 : 호수남]

38. 장초점거리 렌즈의 특징으로 옳지 않을 것은?
     1. 피사체에 가까이 다가갈 수 없을 경우 장초점거리 렌즈가 유용하다.
     2. 표준렌즈에 비해서 화각이 좁아진다.
     3. 상대적으로 피사계 심도가 깊기 때문에 정확하게 초점을 맞춰야 한다.
     4. 표준렌즈에 비해서 이미지의 배율이 커진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39. 동일한 거리에서 촬영할 때 피사체의 배경을 흐리게 하는데 가장 적합한 렌즈는?
     1. 망원 렌즈
     2. 표준 렌즈
     3. 광각 렌즈
     4. 시프트 렌즈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망원렌즈

1) 사용하는 필름의 대각선 길이보다 초점거리가 긴 렌즈
2) 동일한 거리에서 촬영할 때 피사체의 배경을 흐리게(Out Focus)하는 데 가장 적합한 렌즈
3) 초점거리가 길고 피사계심도가 얕다.
4) 원거리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렌즈
[해설작성자 : 예삐]

40. 형광등 아래에서 주광용 컬러필름을 사용하면 형광등 특유의 휘선 스펙트럼의 영향으로 화상이 녹색을 띠는데 이때 색 조정을 위해 사용하는 필터는?
     1. CC 필터
     2. 소프트 필터
     3. FL 필터
     4. Center focus 필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3과목 : 사진기계 및 촬영


41. 특수목적 렌즈의 종류 중 초상사진용 렌즈로 의도적으로 수차가 생기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이 확산되어 얼굴 주름 같은 디테일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것은?
     1. 어안 렌즈
     2. 반사 렌즈
     3. 매크로 렌즈
     4. 소프트 포커스 렌즈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42. 반사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필터로 2장으로 된 평행 평면 유리에 편광 막을 끼운 것으로 가장자리를 잡고 회전시켜 반사광을 약화시키거나 없애는게 가장 효과적인 필터는?
     1. 크로스 스크린 필터(Cross screen filter)
     2. 소프트 포커스 필터(Soft focus filter)
     3. 편광 필터(Polarizing light filter)
     4. 센터 포커스 필터(Center focus filter)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43. 휴대용 반사광식 노출계로 노출 특정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ISO
     2. 피사체의 명암
     3. 렌즈 밝기
     4. 반사율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2%

44. 광각렌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피사계 심도가 깊다.
     2. 원근감이 과장된다.
     3. 표준렌즈보다 화각이 넓다.
     4. 초점거리가 표준렌즈보다 길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광각렌즈는 사용하는 필름의 대각선 길이보다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이다.
[해설작성자 : 예삐]

45. 촬영날짜, 촬영번호, 시각 등 각종 촬영 정보를 사진에 기입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데이터 백
     2. 모터 드라이버
     3. 컨버터
     4. 후드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데이터 백 - 촬영날짜, 촬영번호, 프레임의 촬영조건, 각종 촬영데이터를 사진에 기입하는 역할을 하는 것
모터 드라이버 - 사진촬영 시 와인딩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 카메라에 설치하여 필름을 자동와인딩 시켜주는 장치
컨버터 - 카메라의 몸체와 렌즈 사이에 장착하여 기존의 렌즈를 기구의 배율에 따라 초점거리를 연장시켜 주는 것
후드 - 렌즈가 형성하는 화각 밖의 유해광선을 제거하는 역할
[해설작성자 : 예삐]

46. 초점이 맞지 않으면 상이 흐릿하고 가물거려 보이고, 초점이 맞으면 맑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여 정확히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는?
     1. 상하 분할식 연동 거리계
     2. 이중상 합치식 연동 거리계
     3. 스플리트 이미지(Split image)
     4. 마이크로 프리즘(Micro-pris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47. 다음 중 릴리즈(Release)을 사용하는 주된 목적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필름을 자동으로 감을 때
     2.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할 때
     3.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를 짧게 하고자 할 때
     4.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를 길게 하고자 할 때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릴리즈:셔터를 누를 때 흔들림을 방지하거나, 벌브촬영(장시간 노출촬영 시 셔터 잠금 기능)시 사용합니다. 무선과 유선 제품이 있으며, 구매 시 호환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48. 피사체의 좁은 한 부분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아주 좁은 화각을 가진 노출계는?
     1. 입사식 노출계
     2. 스포트 노출계
     3. 반사광식 노출계
     4. 스트로보용 노출계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SPOT노출계: 반사식으로 특정 부분에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하고자할 떄 사용하는 것으로 1~5도 범위의 좁은 부분을 측정하여 노출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49. 눈언저리나 코, 뺨 아래쪽에 깊은 그림자를 남기며 흔히 해가 머리 위에 떠있는 정오에 찍은 사진들에서 볼 수 있는 조명으로 옳은 것은?
     1. 톱 라이팅(top lighting)
     2. 언더 라이팅(under lighting)
     3. 프론트 라이팅(front lighting)
     4. 높은 사이드 라이팅( lighting)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언더 라이팅:톱 라이팅과 반대로 아래서 위로 비추는 광선으로 부자연스럽고 공포스러운 그림자를 만든다.
모닥불이나 컴퓨터 모니터에서 비추는 광선과 같은효과

프로트 라이팅(정면광):그림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평면적이며 입체감을 최소화한다.카메라 정면에서 조정한다.

높은 사이드 라이팅(high side lighting):피사체의 측면 90도 상방 45도로 조명하는 것으로 얼굴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인물 사진의 주광으로 사용된다.

50. 노출계의 TTL 측광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다.
     2. 렌즈를 교환해도 노출을 올바르게 잴 수 있다.
     3. 여러 가지 필터를 사용할 때에는 노출 보정을 따로 해주어야 한다.
     4. 렌즈를 통하여 들어 온 빛을 직접 측정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TTL 노출계: 카메라 속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렌즈를 통과하여 카메라에 입사된 광량을 측정하므로 필터나 중간링 등을 장착하더라도 필름에 닿는 정확한 노출 값을 알려준다.

51. 리프 셔터(leaf shutt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컬 플레인 셔터보다 더 조용하다.
     2. 포컬 플레인 셔터의 방식보다 비용이 저렴하다.
     3. 어떤 셔터속도에서도 플래시와 동조가 가능하다.
     4. 상당수의 중형 카메라, 대부분의 콤팩트 카메라는 리프 셔터를 갖고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렌즈의 중간에 장치되어있는 셔터인데( 렌즈의 앞이나 뒤에 있는 경우도 있다), 보통 2∼5장의 아주 얇은 금속 막으로 된, 섹터(sector)가 열고 닫혀 빛을 통과 또는 차단해 준다. 그 섹터의 모양이 나무 잎 같아서 리프 셔터라 한다.  또는 이 셔터가 렌즈와 렌즈 사이에 있다고 해서 "between lens shutter" 라고 도 한다. 즉 셔터가 아주 비싸다

52. 셔터와 움직이는 피사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셔터가 빠를수록 움직이는 피사체는 더 선명하게 기록된다.
     2. 피사체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카메라를 패닝해서 찍으면, 피사체는 흐리게 배경은 선명하게 고정되어 찍힌다.
     3. 피사체가 빨리 움직이거나, 노출시간이 길 때 움직이는 물체는 그만큼 흐릿하게 찍힌다.
     4. 일반적으로 셔터속도를 1스톱 느리게 하면 움직이는 피사체의 흔들림의 정도는 2배가 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패닝:움직이는 피사체와 고정된 배경 화면의 움직임 관계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는 화면에 고정시키고 대신 배경 화면이 이동하는 것처럼 촬영하는 기법. 카메라를 저속 촬영으로 설정한 후 달리는 자동차나 뛰는 운동선수와 같은 속도로 움직이며 촬영하는 기법으로 움직이는 물체는 고정되고, 뒤의 배경은 변화되는 촬영 기법으로 인하여 속도감 있는 영상이 얻어진다.

53. 피사체의 뒷면에서 광원이 비춰지는 조명으로 피사체 정면은 어둡고 가장자리 윤곽에 하얀라인을 만들어 배경과 명확히 구분되고 형태가 강조되는 것은?
     1. 사광
     2. 측광
     3. 순광
     4. 역광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3%

54. 다음 중 카메라 보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 안경용 세척제를 사용한다.
     2. 먼지 등에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한다.
     3. 극단적인 온도 변화를 피하도록 한다.
     4. 배터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55. 전자플래시(Electronic flash light) 촬영 시 가이드 넘버가 32인 스트로보로 조명거리 2m에서 촬영한다면 적정 노출을 위한 조리개 값은?(단, 사용 필름의 감도는 ISO 100/21°이다)
     1. f/5.6
     2. f/8
     3. f/11
     4. f/16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6 x 2 = 3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다음 중 카메라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결상기구
     2. 파인더기구
     3. 노출조정기구
     4. 필름현상기구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57. 렌즈의 초점거리와 화각, 원근감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화각은 넓어지지만, 원근감은 변화없다.
     2. 초점거리가 길수록 화각이 좁아지며, 원근감이 축소된다.
     3.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화각이 좁아지며, 원근감이 과장된다.
     4. 초점거리가 길면 화각이 넓고, 원근감이 축소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화각이 커지며 원근감은 과장된다. (광각)
초점거리가 길수록 화각이 좁아지며 원근감은 축소된다. (망원)
[해설작성자 : 합격합격]

58. 뷰 카메라의 무브먼트 중 라이즈(rise)와 폴(fall)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백을 올리고 내리는 것은 피사체의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
     2. 라이즈(rise)와 폴(fall)은 필름과 렌즈 상호간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3. 라이즈(rise)와 폴(fall)은 필름 면에 이미지가 놓이는 위치에 영향을 미친다.
     4. 프런트를 상하로 움직이면 시점을 변화시키고, c에의 형태에도 약간의 변화를 준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2%

59. 컬러리버셜 필름으로 촬영하고자 할 때 흐린 날이나 비오는 날 푸른색을 감소시키기 위해 어떤 필터를 사용하면 가장 효과적인가?
     1. Blue계 필터
     2. UV 필터
     3. Green계 필터
     4. Amber계 필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60. Photoshop에서 File - Automate - Photomerge를 이용하여 제작 할 수 있는 사진은?
     1. 파노라마 사진
     2. 노출 과부족 합성사진
     3. 근거리 초접사 사진
     4. 초점 교정 사진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30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10월03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4
2829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01월27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3 62
» 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3 94
2827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10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31
2826 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01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21
2825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역사회간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20
2824 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8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20
2823 전파통신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1
2822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04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2
2821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05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7
2820 원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7월18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1
2819 임산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8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2
281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37
2817 전기철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05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38
2816 미용사(피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8
2815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11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71
2814 전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07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28
2813 경비지도사 2차(기계경비기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11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4
2812 교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8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20
2811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2.04.03 13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