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인중개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공인중개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07414)


1과목 : 부동산학개론


1.건부지(建附地)와 나지(裸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10월)
     1.나지란 지상에 건물 기타 정착물이 없는 토지다.
     2.나지는 지상권 등 토지의 사용ㆍ수익을 제한하는 사법상의 권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토지다.
     3.건부지가격은 건부감가에 의해 나지가격보다 높게 평가 된다.
     4.건부지는 지상에 있는 건물에 의하여 사용ㆍ수익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5.건부지는 건물 등이 부지의 최유효이용에 적합하지 못하는 경우, 나지에 비해 최유효이용의 기대가능성이 낮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0% 

2.부동산개발방식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등가교환방식의 경우, 지주가 시공회사에게 대물로 공사비를 변제한다.
     2.부동산개발에 따른 위험은 개발업자에 의해 통제가능한 것도 있지만 통제불가능한 것도 있다.
     3.토지를 매수하고, 환지방식을 혼합하여 개발하는 것을 전면매수 또는 매수방식이라 한다.
     4.일반적으로 부동산개발은 장기간 소요되며, 이는 개발업자에게 위험을 안겨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5.토지신탁개발방식의 경우, 토지소유권은 부동산신탁회사에 이전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A아파트의 인근지역에 공원이 새롭게 조성되고, 대형마트가 들어서서 A아파트의 가격이 상승했다면, 이러한 현상은 부동산의 자연적ㆍ인문적 특성 중 어떤 특성에 의한 것인가?(2012년 10월)
     1.생산성ㆍ용도의 다양성
     2.부동성ㆍ위치의 가변성
     3.영속성ㆍ투자의 고정성
     4.적재성ㆍ가치의 보존성
     5.부증성ㆍ분할의 가능성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4.부동산 공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1.부동산의 신규공급은 일정한 시점에서 측정되는 저량개념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 동안 측정되는 유량개념이다.
     2.부동산은 공간과 위치가 공급되는 성질이 있다.
     3.부동산의 개별성은 공급을 비탄력적이고 비독점적으로 만드는 성질이 있다.
     4.공공임대주택의 공급은 주택시장에 정부가 개입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5.주택의 공급규모가 커지면, 규모의 경제로 인해 생산단가가 낮아져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문제 해설>
부동산의 개별성은 개개의 부동산을 독점화한다.
[해설작성자 : 초보]

5.부동산경기변동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부동산경기는 주기의 순환국면이 일정치 않은 경향이 있다.
     2.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보다 선행하기도 하며, 때로는 후행하기도 한다.
     3.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와 비교하여 팽창국면과 위축국면 간의 차이가 큰 특징을 갖는 경향이 있다.
     4.부동산경기는 부동산의 유형에 따라 각각 다른 변화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5.부동산경기는 분석대상지역의 인근지역에 한정하여 측정하는 것이 유효하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거미집이론에 따를 경우, 수요가 증가하면 A부동산과 B부동산의 모형 형태는?[단, X축은 수량(quantity), Y축은 가격(price)을 나타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순서대로 A부동산, B부동산)(2013년 10월)

   

     1.수렴형, 순환형
     2.수렴형, 수렴형
     3.발산형, 순환형
     4.순환형, 수렴형
     5.수렴형, 발산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5% 
     <문제 해설>
기울기가 작으면 수렵형 기울기가 크면 발산형 같으면 순환형
위문제는 마이너스를 넣으면서 혼동을 주는 문제임.
숫자만 보고 풀어보세요
[해설작성자 : 시험 60일 완성]

7.다음 토지의 정착물 중 토지와 독립된 것이 아닌 것은?(2014년 10월)
     1.건물
     2.소유권보존등기된 입목
     3.구거
     4.명인방법을 구비한 수목
     5.권원에 의하여 타인의 토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농작물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8% 
     <문제 해설>
3. 구거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의 관한 법률"의 지목 중 하나로, 용수나 배수 목적으로 일정한
형태를 갖춘 인공적인 수로및 그 부속시설의 부지 그리고 자연의 유수가 있거나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소규모 수로의 부지를 말하며, 구거는 독립물에 해당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제2의 터닝포인트]

8.우리나라의 주택금융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10월)
     1.주택금융제도의 목적은 국민 주거복지 및 생활안정, 주택경기 및 주택가격 조절기능 등을 들 수 있다.
     2.금융기관은 수취한 예금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제공하는데, 이를 1차 주택저당대출시장이라 한다.
     3.2차 주택저당 대출시장은 특별목적회사(SPC)를 통해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여 주택자금 대출기관에 공급해주는 시장을 말한다.
     4.주택금융신용보증기금의 용도는 신용보증채무의 이행, 차입금의 원리금 상환, 기금의 조성ㆍ운용 및 관리를 위한 경비, 기금의 육성을 위한 연구ㆍ개발 등에 사용된다.
     5.저당채권유동화는 금융기관의 유동성을 감소시킨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4% 
     <문제 해설>
저당채권유동화는 금융기관의 유동성을 증가시킨다.
[해설작성자 : 람보르기니 오너 ]

9.부동산금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10월)
     1.한국주택금융공사는 주택저당채권을 기초로 하여 주택 저당증권을 발행하고 있다.
     2.시장이자율이 대출약정이자율보다 높아지면 차입자는 기존대출금을 조기상환하는 것이 유리하다.
     3.자금조달방법 중 부동산 신디케이트(syndicate)는 지분금융(equity financing)에 해당한다.
     4.부동산금융은 부동산을 운용대상으로 하여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5.프로젝트금융은 비소구 또는 제한적 소구 금융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문제 해설>
2. 대출약정이자율보다 시장이자율이 더 높아지면 차입자는 기존대출을 조기상환하는 것이 유리하다
[해설작성자 : 제2의 터닝포인트]

10.부동산마케팅 및 광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10월)
     1.부동산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에는 거시환경과 미시환경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2.부동산의 개별성으로 인해 광고의 내용도 개별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3.고객점유마케팅 전략은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장기적ㆍ지속적 상호작용을 중시한다.
     4.부동산 중개업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부동산마케팅 4P(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전략 중 유통경로(place)전략에 해당한다.
     5.우편물에 의한 직접광고(direct mail)는 표적 고객을 대상으로 부동산을 광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유용하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3번. 관계점유마케팅 전력은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장기적, 지속적 상호작용을 중시한다
[해설작성자 : 포르쉐 오너]

11.어떤 부동산에 대한 수요 및 공급함수가 각각 , QD1=900-P, QS=2P 이다. 소득증가로 수요함수가 QD2=1200-P 로 변한다면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은 어떻게 변하는가?[여기서 P는 가격(단위 : 만원), QD1과 QD2는 수요량(단위 : m2), QS는 공급량(단위 : m2),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함](2008년 10월)
     1.균형가격은 3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상승, 균형거래량은 600m2에서 800m2로 증가
     2.균형가격은 900만원에서 1,200만원으로 상승, 균형거래량은 600m2에서 800m2로 증가
     3.균형가격은 40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하락, 균형거래량은 600m2에서 800m2로 증가
     4.균형가격은 3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상승, 균형거래량은 900m<sup>2</sup>에서 1,200m<sup>2</sup>로 증가
     5.균형가격은 9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상승, 균형거래량은 900m<sup>2</sup>에서 600m<sup>2</sup>로 감소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12.부동산시장과 관련된 부정적 외부효과(외부 비경제; negative externality)의 사례와 해결 방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10월)
     1.쓰레기 투기로 인해 지역사회가 피폐화되자, 지역주민들이 자율적인 규범을 통해 지역사회를 다시금 쾌적하게 만들었다.
     2.주거지역에 청소년 유해시설이 들어서자,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시설을 매입하여 해당 시설의 용도를 바꾸었다.
     3.공해를 유발하는 사업장에 정부가 공해방지시설의 설치를 명령하였고, 해당 사업장이 이에 응하지 않자 과징금을 부과하였다.
     4.신축 공사장의 소음으로 인근 주민들이 고통을 당하자, 주민 대표가 건축회사 대표와 협상하여 보상을 받았다.
     5.주택공급 부족으로 주택가격이 급등하자, 정부가 정책금리를 인상하여 주택시장을 안정시켰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3.부동산개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10월)
     1.부동산개발은 사회적 수요와 환경의 변화에 따른 토지의 최유효이용을 위한 시장 적응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2.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은 사업자의 신용이나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성을 기초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다.
     3.토지(개발)신탁방식은 신탁회사가 토지소유권을 이전받아 토지를 개발한 후 분양하거나 임대하여 그 수익을 신탁자에게 돌려주는 것이다.
     4.환지개발방식은 사업 후 개발 토지 중 사업에 소요된 비용과 공공용지를 제외한 토지를 당초의 토지소유자에게 매각하는 것이다.
     5.혼용방식은 환지방식과 매수방식을 혼합한 방식으로 도시개발사업, 산업단지개발사업 등에 사용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문제 해설>
환지개발방식은 토지소유자에게 매각하는 것이 아니라 토지소유자들에게 재배분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람보르기니 오너]

14.베버(A.Weber)의 공업입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기업은 단일 입지 공장이고, 다른 조건은 동일함)(2013년 10월)
     1.생산자는 합리적 경제인이라고 가정한다.
     2.최소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곳을 기업의 최적 입지점으로 본다.
     3.기업의 입지요인으로 수송비, 인건비, 집적이익을 제시하였다.
     4.기업은 수송비, 인건비, 집적이익의 순으로 각 요인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 입지한다.
     5.등비용선(isodapane)은 최소수송비 지점으로부터 기업이 입지를 바꿀 경우, 이에 따른 추가적인 수송비의 부담액이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곡선을 의미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3% 

15.부동산투자의 위험과 수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10월)
     1.부동산은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화폐가치 하락에 대한 방어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2.체계적 위험은 지역별 또는 용도별로 다양하게 포트 폴리오를 구성하면 피할 수 있다.
     3.위험조정할인율은 장래 기대되는 수익을 현재가치로 환원할 때 위험에 따라 조정된 할인율이다.
     4.투자자의 요구수익률은 체계적 위험이 증대됨에 따라 상승한다.
     5.효율적 프론티어(Efficient Frontier)는 동일한 위험에서 최고의 수익률을 나타내는 투자대안을 연결한 선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16.공공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10월)
     1.소비의 비경합성(非競合性)과 비배제성(非排除性)이라는 특성이 있다.
     2.생산을 시장에 맡길 경우 사회적 적정 생산량보다 과다하게 생산되는 경향이 있다.
     3.생산을 시장에 맡길 경우 무임승차의 문제가 발생한다.
     4.소비에 있어서 규모의 경제가 있다.
     5.산림, 명승지 등 자연이 잘 보존된 토지는 공공재적 성격을 지닌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7.외부효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10월)
     1.외부효과에는 외부경제와 외부불경제가 있다.
     2.외부효과는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소비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3.생산과정에서 외부불경제를 발생시키는 재화의 공급을 시장에 맡길 경우, 그 재화는 사회적인 최적 생산량보다 과다하게 생산되는 경향이 있다.
     4.외부효과는 어떤 경제주체의 경제활동의 의도적인 결과가 시장을 통하여 다른 경제주체의 후생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5.토지이용 행위에서 발생하는 외부불경제는 토지이용규제의 명분이 된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8.부동산 조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1.소형주택공급의 확대, 호화주택의 건축억제 등과 같은 주택문제해결 수단의 기능을 갖는다.
     2.부동산 조세는 부동산 자원을 재분배하는 도구로 쓰인다.
     3.양도소득세의 중과는 부동산 보유자로 하여금 거래를 뒤로 미루게 하는 동결효과(lock-in effect)를 갖고 있다.
     4.조세 부과는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세금을 부담하게 하나, 상대적으로 가격탄력성이 낮은 쪽이 세금을 더 많이 부담하게 된다.
     5.절세는 합법적으로 세금을 줄이려는 행위이며, 조세회피와 탈세는 불법적으로 세금을 줄이려는 행위이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문제 해설>
조세회피는 불법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잘생긴 ONE]

19.도시지역의 토지가격이 정상지가상승분을 초과하여 급격히 상승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2012년 10월)
     1.택지가격을 상승시켜 택지취득을 어렵게 만든다.
     2.직주분리현상을 심화시켜 통근거리가 길어진다.
     3.토지의 조방적 이용을 촉진하고, 주거지의 외연적 확산을 조장한다.
     4.한정된 사업비 중 택지비의 비중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건축비의 비중이 줄어들기 때문에 주택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5.높은 택지가격은 공동주택의 고층화를 촉진시킨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3% 

20.다음 표는 쌀, 우유, 사과 세 가지 상품의 1,000㎡ 당 연간 산출물의 시장가격, 생산비용, 교통비용을 나타낸다. 상품의 생산지와 소비되는 도시까지의 거리가 19km인 지점에서도 이윤을 얻을 수 있는 상품(들)은?(다만,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모든 제품은 같은 지점에 있는 도시에 판매한다고 가정함)(2010년 10월)

    

     1.
     2.우유, 사과
     3.쌀, 우유
     4.쌀, 사과
     5.쌀, 우유, 사과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6% 

21.부동산 투자의 기대수익률과 위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위험회피형 투자자라고 가정함)(2015년 10월)
     1.부동산 투자안이 채택되기 위해서는 요구수익률이 기대수익률보다 커야 한다.
     2.평균-분산 지배원리에 따르면, A투자안과 B투자안의 기대수익률이 같은 경우, A투자안보다 B투자안의 기대 수익률의 표준편차가 더 크다면 A투자안이 선호된다.
     3.투자자가 위험을 회피할수록 위험(표준편차, X축)과 기대수익률(Y축)의 관계를 나타낸 투자자의 무차별곡선의 기울기는 완만해진다.
     4.투자 위험(표준편차)과 기대수익률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5.무위험(수익)률의 상승은 투자자의 요구수익률을 하락시키는 요인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7% 
     <문제 해설>
1.기대수익율이 요구수익율보다 커야함
3.무차별곡선은 위험을 회피할수록 기울기는 가파르다
4.(+)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5.요구수익률을 상승시키는 요인이다
[해설작성자 : 제2의 터닝포인트]

22.부동산조세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2007년 10월)
     1.양도소득세가 중과되면, 주택공급의 동결효과(lock in effect)로 인해 주택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2.임대주택에 재산세가 부과되면, 부과된 세금은 장기적으로 임차인에게 전가될 수 있다.
     3.공급의 가격탄력성은 탄력적인 반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인 시장에서 세금이 부과될 경우, 실질적으로 수요자가 공급자보다 더 많은 세금을 부담하게 된다.
     4.토지이용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토지보유세를 부과할 때에는 토지용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
     5.토지의 공급곡선이 완전 비탄력적인 상황에서는 토지보유세가 부과되더라도 자원배분의 왜곡이 초래되지 않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3.다음 <보기>의 자료를 이용해 환원이율(capitalization rate)을 바르게 계산한 것은?(2007년 10월)

    

     1.6%
     2.9.5%
     3.9.75%
     4.10%
     5.10.25%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4.포트폴리오이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10월)
     1.주식, 회사채, 국채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에 부동산이 추가 편입되면 위험분산 혜택 등을 얻을 수 있다.
     2.경기변동, 인플레이션, 이자율의 변화 등에 의해 야기되는 시장위험은 피할 수 없는 위험으로 이를 비체계적 위험이라 한다.
     3.투자자 자신의 무차별곡선과 효율적 프론티어(efficient frontier)의 접점에서 최적의 포트폴리오가 선택된다.
     4.기대수익률의 분산 또는 표준편차는 투자안의 위험을 측정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5.투자를 분산하는 것은 위험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문제 해설>
경기변동, 인플레이션, 이자율의 변화 등에 의해 야기되는 시장위험은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체계적위험이다.
[해설작성자 : 람보르기니 오너]

25.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부동산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단, 포트폴리오의 비중은 A부동산: 50%, B부동산: 50%임)(2013년 10월)

    

     1.24
     2.28
     3.32
     4.36
     5.4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26.부동산금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10월)
     1.지분투자방식에는 조인트 벤처(Joint Venture), 리츠(REITs) 등이 있다.
     2.주택저당담보부채권(MBB)은 조기상환의 위험부담을 투자자에게 전가한다.
     3.유동화자산은 자산유동화의 대상이 되는 자산으로서 채권, 부동산, 기타 재산권을 말한다.
     4.역저당(Reverse Mortgage)제도란 대출자가 차입자의 주택을 담보로 매기간 마다 정기적으로 일정액을 지불하는 제도이다.
     5.대출금이 과도한 경우 차입자의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커질 위험이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문제 해설>
2. 주택저당담보부채권(MBB)는 무연계형(채권형)이고 
조기상환위험과,원리금수취권,소유권등 발행자가 보유하고 투자자와는 무연계되어 있다
반대로 MPTS는 전부연계형으로 투자자가 조기상환위험과 원리금 수취권,소유권등을 갖고 있다
[해설작성자 : 제2의 터닝포인트]

27.다음 <보기>와 같은 상황에서 임대주택 투자자의 1년간 자기자본 수익률은?(2007년 10월)

    

     1.7%
     2.10%
     3.13%
     4.16%
     5.2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자기자본수익률=전체수익(순영업소득)-이자비용+가격상승률(또는 -가격하락률)/지분투자액(자기자본)이므로
계산식 정리하자면    
(순영업소득=8백만원)-(이자비용=60,000,000*0.08)+(가격상승률=100,000,000*0.02)
-----------------------------------------------------------------------     =0.13(자기자본수익률 13%)
                             (자기자본=40,000,000) 
                         

[해설작성자 : 제2의 터닝포인트]

28.주택담보대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단, 다른 변수는 동일하다고 가정)(2005년 10월)
     1.연간 이자율이 같은 1년 만기 대출의 경우 대출자는 기말에 한번 이자를 받는 것이 기간 중 4회 나누어 받는 것 보다 유리하다.
     2.대출자의 명목이자율은 시장 실질이자율, 위험에 대한 대가, 기대인플레이션율 등으로 구성된다.
     3.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의 이자율은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합하여 결정된다.
     4.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 이자율의 조정 주기가 짧을수록 이자율 변동의 위험은 대출자에서 차입자로 전가된다.
     5.CD(양도성 예금증서)연동 주택담보대출은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9.A, B, C 3개의 부동산자산으로 이루어진 포트폴리오가 있다. 이 포트폴리오의 자산비중 및 경제상황별 예상 수익률 분포가 다음 표와 같을 때 전체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다만, 호황과 불황의 확률은 각각 50%임)(2010년 10월)

    

     1.5.0%
     2.5.2%
     3.5.4%
     4.5.6%
     5.5.8%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0% 

30.공공부문이 직접 공급자나 수요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부동산시장에 개입하는 방법은?(2006년 10월)
     1.용도지역ㆍ지구 지정
     2.개발부담금 부과
     3.공영개발사업 시행
     4.개발권양도제(TDR) 시행
     5.종합부동산세 부과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1.주택금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만, 다른 조건은 동일함)(2010년 10월)
     1.원금균등상환방식과 원리금균등상환방식의 1회차 월 불입액은 동일하다.
     2.변동금리이자율과 고정금리이자율이 같고 향후 금리상승이 예상되는 경우 차입자는 변동금리 대출이 고정금리 대출보다 유리하다.
     3.일반적으로 차입자의 소득과 담보부동산의 가치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으로 인해 차입자의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아진다.
     4.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 이자율의 조정주기가 짧을수록 이자율변동의 위험은 차입자에서 대출자로 전가된다.
     5.차입자가 대출액을 중도상환 할 경우 원금균등상환방식은 원리금균등상환방식보다 대출잔액이 적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32.부동산 개발에 관한 옳은 설명으로 묶인 것은?(2008년 10월)

    

     1.ㄱ, ㄷ
     2.ㄱ, ㄴ, ㄷ
     3.ㄱ, ㄴ, ㅁ
     4.ㄴ, ㄹ
     5.ㄷ, ㄹ, ㅁ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3.부동산투자회사법상 부동산투자회사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10월)
     1.부동산투자회사의 주식에 투자한 자는 배당에 따른 이익과 주식매매차익을 향유할 수 있다.
     2.부동산투자회사란 자산을 부동산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부동산투자회사법의 규정에 의하여 설립된 회사를 말한다.
     3.부동산투자회사에 투자하는 경우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
     4.부동산투자자 중 유동성을 선호하는 사람은 부동산 직접투자보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부동산투자회사에 대한 투자를 선호한다.
     5.부동산투자자문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의 부동산을 개발, 관리, 처분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4.부동산권리분석 및 권원보험(title insurance) 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10월)
     1.권원보험은 대상 부동산의 매도자에 대한 보증이기 때문에 부동산거래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2.소급권리분석은 과거로 소급해서 대상 부동산의 소유권의 연쇄성(chain of title)을 확인하는 작업을 중심으로 한다.
     3.권원보험에 가입했다고 해서 권리의 하자가 치유 또는 제거되는 것이 아니고, 권리의 하자는 그대로 존속한다.
     4.우리나라 부동산등기는 공신력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권리분석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5.자료의 판독(reading)이란 임장활동단계 이전의 활동으로 여러 가지 물적 증거를 수집하여 검토함으로써 권리 등의 하자유무를 발견하려는 작업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5.우리나라의 부동산투자회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10월)
     1.자기관리 부동산투자회사는 실체가 있는 회사이고,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는 명목회사(paper company)이다.
     2.부동산투자회사의 최저 자본금 규모는 250억 원이다.
     3.부동산투자회사는 자본금의 50% 이내에서 현물 출자할 수 있다.
     4.자기관리 부동산투자회사는 매분기 말 현재 총자산의 100분의 80이상을 부동산, 부동산 관련 유가증권 및 현금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5.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의 경우 주주 1인과 그 특별관계자는 발행주식 총수의 30%를 초과하여 소유하지 못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6.다음 <보기>와 같은 감정평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10월)

    

     1.본 감정평가는 국가로부터 자격을 부여받은 개인이 평가주체인 점에서 공인감정평가이다.
     2.본 감정평가를 통해 산정된 감정평가액을 참작하여 법원은 최저경매가격을 정한다.
     3.본 감정평가는 법원의 임의 의사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감정평가인 점에서 임의적 평가이다.
     4.본 감정평가의 가격시점은 2007년 10월 27일이다.
     5.본 감정평가는 A물건의 상태ㆍ용도 등 가격시점 현재 상태대로 평가하는 점에서 현황평가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7.감정평가에 관한 규칙상 감정평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10월)
     1.건물의 주된 평가방법은 원가법이다.
     2.「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구분 소유권의 대상이 되는 건물부분과 그 대지사용권을 일괄하여 감정평가하는 경우 거래사례비교법을 주된 평가 방법으로 적용한다.
     3.임대료를 평가할 때는 적산법을 주된 평가방법으로 적용한다.
     4.영업권, 특허권 등 무형자산은 수익환원법을 주된 평가 방법으로 적용한다.
     5.자동차의 주된 평가방법과 선박 및 항공기의 주된 평가 방법은 다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문제 해설>
임대료 평가는 임대사례비교법에 의한다
[해설작성자 : 석기시대]

38.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령상 공시가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10월)
     1.표준지공시지가의 공시기준일은 원칙적으로 매년 1월 1일이다.
     2.토지를 평가하는 공시지가기준법은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한다.
     3.개별공시지가를 결정하기 위해 토지가격비준표가 활용된다.
     4.표준주택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중에서 각각 대표성 있는 주택을 선정한다.
     5.표준지공시지가와 표준주택가격 모두 이의신청 절차가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7% 
     <문제 해설>
4.표준주택선정은 단독주택 중에서 선정(공동주택은 아님)
[해설작성자 : 제2의 터닝포인트]

39.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수익환원법에 의해 평가한 대상부동산의 가치는?(2013년 10월)

    

     1.325,000,000원
     2.375,000,000원
     3.425,000,000원
     4.475,000,000원
     5.500,000,000원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40.감정평가업자가 대상물건의 감정평가시 적용해야 할 주된 감정평가방법으로 틀린 것은?(2014년 10월)
     1.건물 - 거래사례비교법
     2.과수원 - 거래사례비교법
     3.자동차 - 거래사례비교법
     4.항공기 - 원가법
     5.동산(動産) -거래사례비교법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2과목 : 민법 및 민사특별법


41.‘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10월)
     1.임대차기간을 1년 미만으로 정한 특약이 있는 경우, 임대인은 그 기간의 유효함을 주장할 수 있다.
     2.임대차가 종료한 경우에도 임차인이 보증금을 반환받을 때까지 임대차관계는 존속하는 것으로 본다.
     3.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은 최초의 임대차기간을 포함한 전체 임대차기간이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행사할 수 있다.
     4.임차권등기명령신청을 기각하는 법원의 결정에 대하여 임차인은 항고할 수 있다.
     5.임차인이 3기의 차임액에 달하도록 차임을 연체한 경우, 임대인은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를 거절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임대차기간을 1년 미만으로 정한 특약이 있는 경우, 임대인이 아닌 임차인은 그 기간의 유효함을 주장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우라칸 오너.]

42.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의 법정추인 사유가 아닌 것은?(2005년 10월)
     1.취소권자가 취소할 수 있는 행위에 의하여 생긴 채무를 이행한 경우
     2.취소권자의 상대방이 그 법률행위로 인해 취득한 권리를 양도한 경우
     3.취소권자가 상대방에게 이행을 청구한 경우
     4.취소권자가 상대방으로부터 담보를 제공받은 경우
     5.취소권자가 채권자로서 강제집행을 한 경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3.물권의 소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10월)
     1.소유권은 소멸시효에 걸리지 않는다.
     2.지역권은 20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3.피담보채권이 존속하는 한 저당권은 단독으로 소멸시효에 걸리지 않는다.
     4.지상권이 저당권의 목적이면, 지상권자가 목적토지의 소유자를 상속하더라도 혼동으로 소멸하지 않는다.
     5.토지소유권과 광업권이 동일인에게 귀속하게 되면 광업권은 혼동으로 소멸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4.강박에 의한 의사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2년 10월)
     1.강박에 의해 증여의 의사표시를 하였다고 하여 증여의 내심의 효과의사가 결여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2.법률행위의 성립과정에 강박이라는 불법적 방법이 사용된 것에 불과한 때에는 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라고 할 수 없다.
     3.제3자의 강박에 의해 의사표시를 한 경우, 상대방이 그 사실을 알았다면 표의자는 자신의 의사표시를 취소할 수 있다.
     4.강박에 의해 자유로운 의사결정의 여지가 완전히 박탈되어 그 외형만 있는 법률행위는 무효이다.
     5.강박행위의 위법성은 어떤 해악의 고지가 거래관념상 그 해악의 고지로써 추구하는 이익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부적당한 경우에는 인정되지 않는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45.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4년 10월)
     1.대리인이 파산선고를 받아도 그의 대리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2.대리인이 수인인 때에는 원칙적으로 각자가 본인을 대리한다.
     3.대리인은 본인의 허락이 있으면 당사자 쌍방을 대리할 수 있다.
     4.대리인의 대리권 남용을 상대방이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 대리행위는 본인에게 효력이 없다.
     5.매매계약을 체결할 대리권을 수여받은 대리인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중도금과 잔금을 수령할 권한이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46.반사회적 법률행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5월)
     1.반사회적 법률행위의 무효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2.첩(妾)계약의 대가로 아파트 소유권을 이전하여 주었다면 부당이득을 이유로 그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3.반사회적 법률행위는 당사자가 무효인 줄 알고 추인하 면 새로운 법률행위로서 유효하게 된다.
     4.명의수탁자가 신탁재산을 처분하는 경우에는 그 매수인이 수탁자의 배임행위에 적극 가담하더라도 그 처분행위는 유효하다.
     5.강제집행을 면할 목적으로 부동산에 허위의 근저당권설정등기를 경료하는 행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반사회적 법률행위에 해당되지 않는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7.반사회적 법률행위 및 불공정행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5년 10월)
     1.부담 없는 증여는 불공정행위라는 이유로 무효가 될 수 없다.
     2.부동산이중매매가 반사회적 법률행위로서 무효가 되는 경우, 제1매수인은 매도인에게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지만 매도인을 대위하여 제2매수인 명의로 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없다.
     3.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을 위반한 중간생략등기는 사회질서에 반하여 무효이다.
     4.부첩관계를 맺은 대가로 부동산을 증여받은 첩으로부터 그 부동산을 전득한 자가 그 사실을 알았던 경우에는 소유권을 취득하지 못한다.
     5.불공정행위의 양 당사자는 이미 이행한 것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8.소유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7년 10월)
     1.무주의 토지는 국유이므로, 선점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2.경계에 설치된 경계표 또는 담은 상린자의 공유로 추정한다.
     3.매장물이 학술ㆍ고고의 중요한 재료가 되는 경우에 발견자가 소유권을 취득하지 못한다.
     4.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은 소유권과 분리하여 양도될 수 없다.
     5.공로에 통하는 기존통로가 있다면 그것이 이용에 부적합하여 실제로 통로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더라도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될 수 없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공로에 통하는 기존통로가 있다면 그것이 이용에 부적합하여 실제로 통로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더라도 주의토지통행권이 인정 된다.
[해설작성자 : 우라칸 오너]

49.甲은 그의 X토지를 내심의 의사와는 달리 乙에게 기부하고, 乙 앞으로 이전등기를 마쳤다. 甲ㆍ乙 사이의 법률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1.甲의 의사표시는 무효이므로, 乙이 甲의 진의를 몰랐더라도 X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다.
     2.甲의 의사표시는 단독행위이므로 비진의표시에 관한 법리가 적용되지 않는다.
     3.甲의 진의에 대한 乙의 악의가 증명되어 X토지의 소유권이 甲에게 회복되면, 乙은 甲에게 그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4.乙이 통상인의 주의만 기울였어도 甲의 진의를 알 수 있었다면, 乙은 X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다.
     5.乙로부터 X토지를 매수하여 이전등기를 경료한 丙이 甲의 진의를 몰랐더라도 X토지의 소유권은 여전히 甲에게 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3% 

50.추인하여도 효력이 생기지 않는 무효인 법률행위를 모두 고른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4년 10월)

    

     1.ㄱ, ㄴ
     2.ㄱ, ㄷ
     3.ㄴ, ㄹ
     4.ㄱ, ㄷ, ㄹ
     5.ㄴ, ㄷ, ㄹ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6% 

51.부동산 물권을 등기 없이 취득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3년 10월)
     1.신축건물의 소유권 취득
     2.분묘기지권의 취득
     3.상속에 의한 소유권 취득
     4.법정저당권의 취득
     5.점유취득시효에 의한 지역권의 취득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2% 
     <문제 해설>
5. 점유취득시효에 의한 지역권,소유권의 취득은 187조의 예외이며 등기를 필요하다 함
[해설작성자 : 제2의 터닝포인트]

52.저당권의 성립 및 효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2년 10월)
     1.장래의 특정한 채권은 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이 될 수 있다.
     2.물상대위권 행사를 위한 압류는 그 권리를 행사하는 저당권자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3.저당부동산에 대해 지상권을 취득한 제3자는 저당권자에게 피담보채권을 변제하고 저당권의 소멸을 청구할 수 있다.
     4.건물의 증축비용을 투자한 자가 그 대가로 건물에 대한 공유지분이전등기를 경료받은 경우, 저당권이 실행되더라도 매수대금에서 우선상환을 받을 수 없다.
     5.저당권이 설정된 나대지에 건물이 축조된 경우, 토지와 건물이 일괄경매되더라도 저당권자는 그 건물의 매수대금으로부터 우선변제 받을 수 없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6% 

53.법률행위의 부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6년 10월)
     1.조건의 성취여부가 미정(未定)인 권리도 담보로 제공할 수 있다.
     2.정지조건부 매매계약에 기한 토지소유권이전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한 가등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3.조건이 성취된 해제조건부 법률행위는 특약이 없는 한 소급하여 효력을 잃는다.
     4.조건이 선량한 풍속에 반하면 조건없는 법률행위가 된다.
     5.존속기간을 ‘임차인에게 매도할 때까지’로 정한 임대차계약은 원칙적으로 불확정기한부 법률행위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4.甲은 자기소유 아파트에 대해 채권자 A의 강제집행을 면탈할 목적으로 乙과 통정하여 乙명의로 이전등기를 하였다. 그 후 乙은 이 사정을 모르는 丙에게 그 아파트를 매도하여 丙명의로 이전등기가 경료되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甲은 허위표시의 무효를 丙에게 주장할 수 없다.
     2.乙은 丙에 대해 원인행위의 무효를 이유로 말소등기를 청구할 수 없다.
     3.丙이 취득한 아파트는 A에 의한 강제집행의 대상이 될 수 없다.
     4.甲은 乙에게 원인무효를 이유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5.甲ㆍ乙 사이의 허위표시에 앞선 甲소유 아파트의 가등기권리자는 허위표시에서의 제3자로 볼 수 없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함민성은 이재성에게 원인무효를 이유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우라칸 오너 ONE]

55.甲과 乙은 그들의 공유토지를 계약금만 받은 상태에서 매수인 丙에게 이전등기를 해 주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잔금지급기일 경과 후 甲과 乙은 丙에 대하여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그 지급을 최고한 후 그 기간 내에 이행이 없으면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2.지체기간 중에 지가가 폭등하여도 甲과 乙은 사정변경을 이유로 매매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
     3.甲은 乙로부터 대리권을 수여받아 乙을 대리하여 해제의 의사표시를 할 수 있다.
     4.계약이 해제되면 甲과 乙은 선의ㆍ악의에 관계없이 원상회복의무가 있다.
     5.계약이 해제된 후 丙이 丁에게 위 토지를 양도한 경우, 丁의 지(知)ㆍ부지(不知)를 묻지 않고 甲과 乙은 계약해제를 이유로 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6.사기에 의한 의사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5월)
     1.기망행위란 표의자에게 그릇된 관념을 가지게 하거나 이를 강화ㆍ유지하게 하려는 일체의 행위를 말한다.
     2.타인의 과실 있는 기망행위로 인하여 착오에 빠져서 한 의사표시는 사기를 이유로 취소할 수 있다.
     3.표의자의 기망행위로 인한 착오는 주관적인 것으로도 족하고, 그 착오는 동기의 착오라도 무방하다.
     4.재산상의 손해를 입히려고 하는 의사가 기망행위를 하는 자에게 있을 것을 요하지 않는다.
     5.매매의 목적물에 대한 흠이 있음에도 이를 속이고 매도한 경우,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와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이 경합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7.선의 또는 악의점유를 구별할 실익이 없는 것은?(2011년 11월)
     1.부동산소유권의 등기부시효취득
     2.점유침탈자의 특별승계인에 대한 점유자의 반환청구권
     3.점유자의 회복자에 대한 유익비상환청구권
     4.점유물의 멸실ㆍ훼손에 따른 점유자의 회복자에 대한 책임
     5.점유자의 과실수취권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7% 

58.조건과 기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8년 10월)
     1.동산의 소유권유보부매매에서 소유권유보의 특약을 한 경우 그 특약은 해제조건부이다.
     2.기한은 채무자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나, 채무자는 기한의 이익을 포기할 수 있다.
     3.조건부 권리는 조건의 성취여부가 미정인 동안에도 일반규정에 의해 담보로 할 수 있다.
     4.조건부 법률행위에 있어 조건의 내용 자체가 불법이어서 무효일 경우 조건만을 분리하여 무효로 할 수 있다.
     5.조건의 성취로 불이익을 받을 자가 신의성실에 반하여 조건의 성취를 방해한 때에는 그 조건은 성취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0% 

59.甲과 乙은 甲소유의 토지 1필지를 200평이라고 생각하고 수량지정 매매계약을 체결하였는데, 처음부터 30평이 부족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5년 10월)
     1.선의인 乙은 甲에게 담보책임상의 대금감액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2.乙은 甲에게 계약체결상의 과실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3.乙은 일부무효를 이유로 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4.선의인 乙은 甲에게 담보책임상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5.선의인 乙은 계약한 날로부터 1년 내에 담보책임상의 권리를 행사하여야 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선의의 이재성은 그 사실을 안날로부터 1년 내에 담보책임상의 권리를 행사하여야 한다.
악의의 이재성은 게약한 날로부터 1년 내에 담보책임상의 권리를 행사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AMG C63오너 ONE]

60.법정지상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5년 10월)
     1.甲소유의 토지에 존재하는 그 소유 건물에만 설정된 저당권실행으로 乙이 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 乙은 법정지상권을 취득한다.
     2.①의 경우, 乙로부터 건물을 양수하면서 지상권까지 넘겨받기로 한 丙에 대하여 甲은 건물철거 및 대지의 인도를 구할 수 없다.
     3.甲소유의 나대지에 乙이 저당권을 취득한 후 甲이 그 나대지에 건물을 신축한 경우, 저당권실행으로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다르게 되어도 법정지상권은 성립하지 않는다.
     4.乙이 甲으로부터 甲소유 토지와 지상의 미등기건물을 매수하여 토지에 대해서만 소유권이전등기를 받은 후, 토지에 乙이 설정해 준 저당권이 실행되어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다르게 된 경우, 법정지상권이 성립한다.
     5.甲소유의 토지 및 그 지상건물에 乙이 공동저당권을 취득한 후 甲이 건물을 철거하고 그 토지에 건물을 신축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저당권의 실행으로 토지와 신축건물의 소유자가 다르게 되면 신축건물을 위한 법정지상권이 성립하지 않는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1.부동산의 점유취득시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2년 10월)
     1.시효취득을 주장하는 점유자는 자주점유를 증명할 책임이 있다.
     2.시효진행 중에 목적부동산이 전전양도된 후 시효가 완성된 경우, 시효완성자는 최종등기명의자에 대해 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
     3.취득시효가 완성된 점유자는 토지 소유자가 시효완성 후 당해 토지에 무단으로 담장 등을 설치하더라도 그 철거를 청구할 수 없다.
     4.시효기간 만료 후 명의수탁자로부터 적법하게 이전등기받은 명의신탁자는 시효완성자에게 대항할 수 없다.
     5.시효완성으로 이전등기를 경료받은 자가 취득시효기간 중에 체결한 임대차에서 발생한 임료는 원소유자에게 귀속한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62.저당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1년 11월)
     1.채무자가 저당물을 손상, 멸실하였을 때에는 기한의 이익을 상실한다.
     2.저당권의 효력은 저당권 설정 전에 목적부동산에 권원없이 부합된 물건에 미치지 않는다.
     3.공유지분을 목적으로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다.
     4.저당부동산에 대하여 전세권을 취득한 자는 저당권자에게 그 부동산으로 담보된 채권을 변제하고 저당권의 소멸을 청구할 수 있다.
     5.구분건물의 전유부분에 설정된 저당권의 효력은, 그 전유부분의 소유자가 나중에 대지사용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그 대지사용권에도 미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0% 
     <문제 해설>
저당권의 효력은 부합된 물건에 미친다.
[해설작성자 : ONE]

63.甲종중은 자신의 X토지를 적법하게 종원(宗員) 乙에게 명의신탁하였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0년 10월)
     1.乙이 평온, 공연하게 10년간 X토지를 점유한 경우, 乙은 이를 시효취득할 수 있다.
     2.제3자가 X토지를 불법점유하는 경우, 甲은 소유권에 기하여 직접 방해배제를 청구할 수 있다.
     3.甲이 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하고 소유권에 기하여 乙에게 행사하는 등기청구권은 소멸시효에 걸리지 않는다.
     4.乙이 丙에게 X토지를 매도하여 이전등기한 경우, 丙이 악의라면 X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지 못한다.
     5.乙이 X토지 위에 건물을 지어 소유하던 중 명의신탁이 해지되어 X토지의 등기명의가 甲으로 환원된 경우, 乙은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을 취득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64.근저당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2015년 10월)
     1.피담보채무의 확정 전에는 채무자를 변경할 수 없다.
     2.1년분이 넘는 지연배상금이라도 채권최고액의 한도 내라면 전액 근저당권에 의해 담보된다.
     3.근저당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그 설정행위와 별도로 피담보채권을 성립시키는 법률행위가 있어야 한다.
     4.후순위 근저당권자가 경매를 신청한 경우 선순위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은 매각대금이 완납된 때에 확정된다.
     5.선순위 근저당권의 확정된 피담보채권액이 채권최고액을 초과하는 경우, 후순위 근저당권자가 그 채권최고액을 변제하더라도, 선순위 근저당권의 소멸을 청구할 수 없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0% 
     <문제 해설>
1. 피담보채무의 확정되기 전이라면 채무범위나 채무자를 변경할수 있음
[해설작성자 : 제2의 터닝포인트]

65.甲은 건물소유를 목적으로 乙 소유의 X토지를 임차하여 Y건물을 신축하고 보존등기를 마쳤다. 다음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2년 10월)
     1.임대차기간이 만료하였으나 乙이 계약갱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甲은 상당한 가액으로 건물매수를 청구할 수 있다.
     2.甲이 2기의 차임액을 연체하여 乙이 임대차계약을 해지한 경우, 甲은 乙에게 건물매수를 청구할 수 없다.
     3.甲의 건물매수청구가 적법한 경우, 乙의 대금지급이 있기까지는 건물부지의 임료 상당액을 반환할 필요는 없다.
     4.甲이 Y건물에 설정한 저당권이 실행되어 丙이 그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甲의 토지임차권은 丙에게 이전된다.
     5.甲이 乙의 동의 없이 토지임차권과 Y건물을 丙에게 양도한 경우, 원칙적으로 丙은 乙에게 임차권 취득으로써 대항할 수 없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66.임대인 甲은 임차인 乙에게 임대차기간의 만료와 동시에 임대주택의 명도를 요구하고 있다. 다음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2년 10월)
     1.甲이 보증금채무를 이행제공하지 않는 한, 乙은 주택의 명도를 거절할 수 있다.
     2.乙이 동시이행항변권에 기하여 주택을 사용ㆍ수익하는 경우, 甲은 乙에게 불법점유를 이유로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 없다.
     3.乙이 동시이행항변권에 기하여 주택을 사용ㆍ수익하더라도 그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얻은 이익이 있으면 부당이득으로 甲에게 반환하여야 한다.
     4.甲이 보증금채무를 이행제공하였음에도 乙이 주택을 명도하지 않은 경우, 甲이 그 후 보증금채무의 이행제공 없이 명도청구를 하더라도 乙은 동시이행항변권을 행사할 수 있다.
     5.乙이 甲에게 변제기가 도래한 대여금 채무를 지고 있다면, 乙은 甲에 대한 보증금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하여 甲의 乙에 대한 대여금채권과 상계할 수 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67.2006년에 한 X토지 경매절차에서 甲이 실질적으로 매수자금을 부담하지만 친구인 乙의 이름으로 매각받기로 명의신탁약정을 하였고, 그 후 매각허가결정에 따라 乙은 대금을 완납하고 자신의 명의로 등기를 마쳤다.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7년 10월)
     1.甲과 乙 사이의 명의신탁약정은 유효하다.
     2.X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하는 자는 甲이다.
     3.甲이 X토지를 丙에게 매도하는 계약은 무효이다.
     4.甲의 지시에 따라 乙이 X토지를 매각한 후 그 처분대금을 甲에게 반환하기로 한 약정은 무효이다.
     5.乙이 X토지를 丁에게 처분하였는데 丁이 악의라면 丁은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8.계약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1년 11월)
     1.계약금에 의해 해제권이 유보된 경우,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
     2.매도인이 이행에 전혀 착수하지 않았다면 매수인은 중도금을 지급한 후에도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3.매도인이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고 계약을 해제한 경우,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4.계약금의 포기나 배액상환에 의한 해제권 행사를 배제하는 당사자의 약정은 무효이다.
     5.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이행을 최고하고 대금지급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후에도 매수인은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9% 
     <문제 해설>
<계약금의 의한 해제권은 이행하지 않을때에만 해제할 수 있다>
1.계약금에 해제권의 유보란 계약시 해제하지 않기로 한 정함이 있는경우이고 약정해제권에 해당한다 하지만
상대방의 과실이 있는경우 법정해제권을 우선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채무불이행으로 계약을 해제 할 수 있다.
2.중도금 지급은 이행에 착수한 경우이므로 해제할 수없다
3.계약금의 해제시에는 배액상환만으로 족하다
4. 계약금의 해제권은 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한 약정해제권이므로 유효하다
[해설작성자 : 제2의 터닝포인트]

69.甲은 자기소유의 주택을 乙에게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대금은 乙이 丙에게 지급하기로 하는 제3자를 위한 계약을 체결하였다. 다음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1년 11월)
     1.乙이 丙에게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대금수령 여부의 확답을 최고하였음에도 그 기간 내에 확답을 받지 못한 경우, 丙이 대금수령을 거절한 것으로 본다.
     2.乙이 丙에게 대금을 지급한 후 계약이 무효가 된 경우, 乙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丙에게 대금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3.계약이 乙의 기망으로 체결된 경우, 丙은 이를 이유로 계약을 취소할 수 없다.
     4.丙이 乙에게 대금수령의 의사표시를 한 후 甲과 乙이 계약을 합의해제 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丙에게는 효력이 없다.
     5.丙이 乙에게 대금수령의 의사표시를 하였으나 乙이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경우, 丙은 乙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4% 
     <문제 해설>
乙이 丙에게 대금을 지급한 후 계약이 무효가 된 경우라면 乙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한 
제3자의 계약자인 丙이아니고 계약의 당사자인 甲에게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으며 
丙에게 직접 대금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제2의 터닝포인트]

70.甲은 자기소유의 토지를 乙에게 매도하면서 계약금을 수령하였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甲은 乙이 중도금을 지급하기 전에 수령한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2.甲의 해제권행사는 계약금의 배액상환의 제공과 함께 하여야 한다.
     3.甲이 계약해제의 의사표시와 함께 계약금의 배액을 제공 하였으나 乙이 이를 수령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탁을 하여야 유효한 해제권행사가 된다.
     4.배액상환을 받은 乙은 계약금 이상의 손해가 발생하였음을 입증하여도 추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5.乙의 귀책사유로 계약이 해제되면 계약금을 위약금으로 한다는 특약이 없는 한, 계약금이 당연히 甲에게 귀속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0% 

71.저당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0년 10월)
     1.저당권 설정 전에 지상권이 설정된 토지가 그 저당권실행으로 매각된 경우, 그 지상권은 소멸한다.
     2.저당권의 피담보채권 소멸 후 그 말소등기 전에 피담보채권의 전부명령을 받아 저당권이전등기를 경료한 자는 그 저당권을 취득할 수 있다.
     3.공동저당의 목적인 여러 부동산 중 일부 부동산의 매각대금을 먼저 배당하는 경우, 공동저당권자는 그 대금에서 피담보채권 전부를 우선변제 받을 수 없다.
     4.구분소유건물의 전유부분만을 경락받아 매각대금을 다 낸 자는 그 대지사용권을 취득하지 못한다.
     5.저당권의 효력은 부합물에 미친다는 민법규정은 임의규정이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72.일시사용을 위한 임대차에서 인정되는 권리를 모두 고른 것은?(2014년 10월)

    

     1.
     2.
     3.ㄱ, ㄴ
     4.ㄴ, ㄷ
     5.ㄷ, ㄹ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73.점유자와 회복자의 관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05년 10월)

    

     1.(ㄱ), (ㄴ), (ㄷ), (ㄹ)
     2.(ㄱ), (ㄴ)
     3.(ㄷ), (ㄹ)
     4.(ㄱ), (ㄷ), (ㄹ)
     5.(ㄴ), (ㄹ)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4.임대차계약(일시사용을 위한 임대차는 제외)의 당사자가 아래의 권리에 관하여 임차인에게 불리한 약정을 하더라도 그 효력이 인정되는 것은?(2012년 10월)
     1.차임증감청구권
     2.필요비 및 유익비상환청구권
     3.임차인의 지상물매수청구권
     4.임차인의 부속물매수청구권
     5.기간의 약정이 없는 임대차의 해지통고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75.집합건물의 관리단과 관리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1년 11월)
     1.관리인의 선임은 관리단집회의 소집ㆍ개최 없이 서면결의로 할 수 있다.
     2.관리단집회에서 적법하게 결의된 사항은 그 결의에 반대한 구분소유자에게는 효력이 없다.
     3.수분양자가 분양대금을 완납하였지만 분양자측의 사정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받지 못하였다면, 그는 관리단의 구성원이 되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
     4.구분소유자가 공동이익에 반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관리인은 직권으로 해당 구분소유자의 전유부분의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
     5.관리단의 재산으로 채무를 전부 변제할 수 없게 된 경우, 각 구분소유자는 연대하여 관리단의 채무 전부를 변제할 책임이 있음이 원칙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2% 

76.「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당연공용부분은 등기를 요하지 않으나, 규약공용부분은 등기하여야 한다.
     2.매수인이 전유부분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만 경료 받고 대지지분에 대하여는 이전등기를 경료 받지 못하였더라도 그 매수인은 매매계약의 효력으로써 건물의 대지를 점유ㆍ사용할 권리를 가진다.
     3.구분소유자는 그가 가지는 전유부분과 분리하여 대지사용권을 처분할 수 없으나, 규약으로 달리 정할 수 있다.
     4.각 공유자는 공용부분을 그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5.공용부분의 변경에 관한 사항은 원칙적으로 통상집회의 결의로써 결정한다.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77.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재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구분소유자의 ( ) 이상 및 의결권의 ( ) 이상의 결의가 있어야 한다. 빈 칸에 공통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10월)
     1.2분의 1
     2.3분의 1
     3.3분의 2
     4.4분의 3
     5.5분의 4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7% 

78.「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2년 10월)
     1.가등기담보권이 설정된 경우, 설정자는 담보권자에 대하여 그 목적물의 소유권을 자유롭게 행사할 수 있다.
     2.귀속청산의 경우, 채권자는 담보권실행의 통지절차에 따라 통지한 청산금의 금액에 대해서는 다툴 수 없다.
     3.청산금 미지급으로 본등기가 무효로 되었다면, 그 후 청산절차를 마치더라도 유효한 등기가 될 수 없다.
     4.실행통지의 상대방이 채무자 등 여러 명인 경우, 그 모두에 대하여 실행통지를 하여야 통지로서의 효력이 발생한다.
     5.채권자와 채무자가 가등기담보권설정계약을 체결하면서 가등기 이후에 발생할 채권도 후순위권리자에 대하여 우선변제권을 가지는 가등기담보권의 피담보채권에 포함시키기로 약정할 수 있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3% 

79.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에 대하여 임대인이 거절할 수 있는 사유가 아닌 것은?(2008년 10월)
     1.임차인이 임차한 건물의 일부를 경과실로 파손한 경우
     2.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 없이 목적 건물의 일부를 전대한 경우
     3.임차인이 3기의 차임액에 달하도록 차임을 연체한 사실이 있는 경우
     4.임차한 건물의 일부가 멸실되어 임대차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5.임대인이 목적 건물의 대부분을 철거하기 위해 목적 건물의 점유회복이 필요한 경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0% 

80.乙이 최고 없이 해제(해지)할 수 있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2010년 10월)

    

     1.ㄱ, ㄴ
     2.ㄱ, ㄷ
     3.ㄴ, ㄷ
     4.ㄴ, ㄹ
     5.ㄷ, ㄹ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공인중개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0741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인중개사, 1차,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90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632645) 좋은아빠되기 2017.01.10 710
2889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41946) 좋은아빠되기 2017.01.10 696
2888 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939397) 좋은아빠되기 2017.01.10 391
2887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17.01.10 424
2886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2월03일(1회) 좋은아빠되기 2017.01.10 855
2885 ERP 회계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17.01.10 159
2884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848601) 좋은아빠되기 2017.01.10 485
2883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17.01.10 851
2882 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10월02일(5회) 좋은아빠되기 2017.02.10 793
2881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725330) 좋은아빠되기 2017.02.10 328
2880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733371) 좋은아빠되기 2017.02.10 644
2879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530256) 좋은아빠되기 2017.02.10 592
2878 수능(생명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17.02.10 532
2877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1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17.02.10 4966
2876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500776) 좋은아빠되기 2017.02.10 221
2875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674222) 좋은아빠되기 2017.02.10 2792
2874 웹디자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1월27일(1회) 좋은아빠되기 2017.02.10 318
2873 F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1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17.02.10 205
» 공인중개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07414) 좋은아빠되기 2017.02.10 417
2871 수능(물리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076443) 좋은아빠되기 2017.02.10 897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