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868186)1. | 그림의 (ㄱ)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6년 04월) |
1. | 보살행(菩薩行)을 통해 자비를 실천해야 하네. |
2. | 인의(仁義)를 실천하여 악한 본성을 억제해야 하네. |
3. | 존비친소의 구별 없는 무조건적 사랑을 펼쳐야 하네. |
4. | 세상 어느 것에도 얽매이지 않고 소요(逍遙)해야 하네. |
5. | 옳은 일을 반복적으로 실천하여 호연지기를 길러야 하네. |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맹자의 이상적 인간관 파악하기 그림의 스승은 맹자이다. 맹자는 이상적 인간을 대장부 또는 대인이라고 하였으며, 이상적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집의(集義)를 통해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를 것을 주장하였다. |
|
2. | 그림은 고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가상 대화이다.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3년 06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소피스트와 플라톤 사상의 특징 파악 ② 갑은 소피스트인 트라시마코스이고, 을은 플라톤이다. 소피스트는 강자의 이익이 곧 정의라고 보았다. 이에 비해 플라톤은 국가의 세 계급이 각각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룬 상태를 정의라고 하였다. 소피스트는 인간의 감각적 경험을 통해 정의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비해 플라톤은 이성을 참된 인식의 기반으로 보았다.
오답 피하기 ㄴ. 플라톤은 계층 간의 역할 교환이 아니라 각 계층이 각자의 역할에 충실해야 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ㄹ. 소피스트는 현실에서 정의의 참된 근거를 발견할 수 있다고 보았지만, 플라톤은 이데아계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
|
3. | 다음을 주장한 동양 사상가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15년 10월) |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왕양명의 사상적 입장을 이해한다. 제시문은 왕양명의 주장이다. 그는 우리의 마음 밖에 따로 이치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오답풀이] ㄱ. 왕양명에 따르면 부모가 돌아가셔도 내 마음에 있는 효의 이치는 소멸하지 않는다. |
|
4. | 갑, 을은 동서양의 사상가들이다.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2014년 06월) |
1. | 갑은 모든 것은 변하므로 실체(實體)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
2. | 갑은 만물의 관계성을 직관하여 이타심을 발휘해야 한다고 본다. |
3. | 을은 금욕(禁慾)을 통해 영혼의 안정을 추구해야 한다고 본다. |
4. | 을은 윤회에 의해서 영원한 생명과 행복에 이를 수 있다고 본다. |
5. | 갑, 을은 삶이 욕망과 집착으로 인한 고통의 연속이라고 본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불교 사상과 쇼펜하우어 사상에 대한 이해 갑은 불교 사상가이며, 을은 쇼펜하우어이다. 불교에서는 연기론이나 공(空) 사상을 통해 자아나 사물에 집착하지 말 것을 강조한다. 쇼펜하우어는 고통스러운 현실적 삶에서 벗어나려면 의지의 전적인 부정, 즉 살고자 하는 충동과 욕망의 제거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윤회를 통해 영원한 생명과 행복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은 쇼펜하우어의 입장이 아니다.
[오답피하기] ① 연기론이나 공 사상에 따르면 인간을 포함한 세상 만물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그러므로 세상에 고정된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② 연기론에 따르면 세상 만물은 보이지 않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나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남의 해탈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 ③ 쇼펜하우어가 주장한 ‘의지의 전적인 부정’은 ‘철저한 금욕’과 다르지 않다. ⑤ 불교에서는 욕망과 무지로 인해 인간의 현실적 삶이 고통스럽다고 본다. 쇼펜하우어는 살려는 욕망과 집착 때문에 인간의 삶이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
|
5. | 그림은 서술형 평가 문제와 학생 답안이다. 학생 답안의 (ㄱ)~(ㅁ)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비교 이해 (가)는 자유주의의, (나)는 공동체주의의 기본 입장이다.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최고의 가치로 보고 그것들을 최대한 잘 보호해 주는 사회 체제를 추구한다. 공동체주의는 공동선이 개인적 선보다 우선하며, 개인의 좋은 삶은 공동체의 가치에 의해 안내된다고 주장한다. 국가가 개인들의 다양한 가치관에 대해 가능한한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고 보는 것은 자유주의의 입장이다.
[오답피하기] ① 자유주의는 국가를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조직으로 본다. ③ 자유주의는 인간을 다른 사람과 독립된 자율적 존재로 보지만, 공동체주의는 인간을 상호 의존적인 연대적 존재로 본다. ④ 자유주의가 정치 공동체를 개인의 삶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데 비해 공동체주의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의 기반으로 본다. ⑤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는 모두 개인적 선과 공동선이 공존할 수 있다고 본다. |
|
6. | (가)를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퍼즐 속 세로 낱말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
1. | 의(義)로운 행동을 반복해 얻은 지극히 크고 올곧은 도덕적 기개이다. |
2. | 고통[苦]의 원인으로서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 혼재된 마음이다. |
3. | 모든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선량(善良)한 덕성이다. |
4. | 무욕(無欲), 무지(無知)한 삶을 위해 요구되는 자연적 품성이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인성에 대한 맹자의 입장 파악 (가)를 주장한 사상가는 맹자이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성선설을 주장하였다. (나)의 퍼즐 속 가로 낱말 (A)는 ‘인내천(人乃天)’이고, (B)는 ‘이성(理性)’이다. 그러므로 세로 낱말 (A)는 ‘인성(人性)’이다. 맹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인성은 모든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선량한 덕성이다.
[오답피하기] ① 맹자가 중시한 호연지기(浩然之氣)에 대한 설명이다. ② 탐욕, 성냄, 어리석음은 불교에서 고통의 원인으로 보는 삼독(三毒)이다. ④ 무욕(無欲), 무지(無知)한 삶을 강조한 사상가는 노자이다. ⑤ 유교의 입장에서 볼 때 마음의 본체로서의 성(性)은 사단이나 칠정과 같은 감정으로 표현된다. |
|
7. | 을은 부정, 병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14년 11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이황과 정약용 사상의 비교 이해 병은 정약용이다. 정약용은 성리학의 심성론과 덕론을 비판하면서, 인간의 본성[性]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부끄러워하는 기호(嗜好)이며, 사덕(四德)은 사단의 확충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황은 부정, 정약용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은 '인의예지는 사단의 확충을 통해서 획득되는가?(ㄴ)'와 '악을 부끄럽게 여기는 성향은 인간의 본성인가?(ㄹ)'이다.
[오답피하기] ㄱ. 이황과 정약용 모두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두 사상가는 모두 사단을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선천적인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ㄷ. 이황과 정약용 모두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이황은 마음의 이치[理]로서의 덕을 타고난 것으로 보며, 정약용은 덕을 마음의 이치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
|
8. |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6년 06월) |
1. | 갑은 인간이 사물과 달리 본연지성(本然之性)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
2. | 을은 지속적인 수양이 없으면 양지(良知)를 상실할 수 있다고 본다. |
3. | 갑은 을과 달리 도덕적 앎은 반드시 도덕적 실천으로 이어진다고 본다. |
4. | 을은 갑과 달리 경험적 방법을 통해서도 이치를 찾아야 한다고 본다. |
5. | 갑, 을은 모두 도덕적 실천을 위해서는 격물치지가필요하다고 본다. |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주희와 왕수인 사상의 비교 이해 갑은 주희이고, 을은 왕수인이다. 주희는 성이 곧 천리[性卽理(성즉리)]이며, 성에는 인의예지가 모두 갖추어져 있다고 보았다. 왕수인은 마음이 곧 천리[心卽理(심즉리)]이므로 효도하는 마음이 없으면 효의 이치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러나 두 사상가는 모두 도덕적 실천을 위해서는 격물치지(格物致知)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다만 주희가 격물치지를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나의 앎을 극진히 하는 것으로 이해한 것에 비해, 왕수인은 타고난 참된 앎인 양지(良知)를 발휘하여 마음의 일을 바로잡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오답피하기] ① 주희에 따르면 인간과 사물은 모두 본연지성을 가지고 있다. ② 왕수인에 따르면 양지는 언제나 인간에게 부여되어 있는 것이다. ③ 왕수인은 도덕적 앎과 도덕적 실천이 별개가 아니라는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을 제시하였다. ④ 왕수인은 경험적 방법을 통해서는 이치를 찾을 수 없다고 보았다. |
|
9. | (가) 사상가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완성하고자 할 때, A, B에 들어갈 옳은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13년 09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이이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이해 ④ (가)를 주장한 사상가는 이이이다. 이이는 이와 기가 모두 발할 수 있다는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비판하고,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제시하였다. 다시 말해 이이는 칠정과 마찬가지로 사단도 기가 발하여 이가 탄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사단의 하나인 측은지심은 기가 발한 것이다(ㄹ). 이이에 따르면 칠정은 외부로부터 감응되어 발한 정이다(ㄷ). 그런데 ‘칠정을 바로잡 으면 사단으로 발하는가?(ㄱ)’라는 것은 이이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그에 따르면 칠정은 사단을 포함하며, 사단은 칠정의 순선한 측면을 가리키는 것이다.
오답 피하기 ㄴ. 이이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
|
10. | 갑, 을 사상가 모두가 지지할 주장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3점](2013년 03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키르케고르와 사르트르의 공통된 입장을 파악한다. 갑은 키르케고르, 을은 사르트르이다. 이들은 실존주의자로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삶을 중시하고, 자유로운 선택과 책임을 강조하였다.
[오답풀이] ㄷ. 키르케고르는 유신론적 실존주의자, 사르트르는 무신론적 실존주의자이다. |
|
11. | 조선 시대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6년 04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정제두와 정약용의 사상 비교하기 갑은 정제두, 을은 정약용이다. 정제두는 양명학의 입장에서 인간의 본성과 마음은 다르지 않으며 마음이 곧 이치라고 주장하였다. 정약용은 성기호설의 입장에서 인간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기호를 타고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정제두와 정약용은 모두 인간의 도덕적 주체성을 강조하였으며, 노력을 통해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
|
12. | 그림은 위의 갑, 을과 견해를 달리하는 조선 후기 사상가의 가상 일기이다. (ㄱ)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10월) |
1. | 인의예지를 회복하려면 기질을 변화시켜야 한다. |
2. | 인의예지는 사단을 실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
3. | 사단의 확충을 위해서는 모든 욕구를 억제해야 한다. |
4. | 사단은 인의예지의 존재를 알 수 있게 해주는 단서이다. |
5. | 사단을 갖추려면 선을 좋아하는 기호에 따라 행위해야 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정약용의 사상적 입장을 파악한다. 그림은 정약용의 입장을 담고 있다. 인의예지를 사단의 근본이라고 본 이황이나 이이와 달리, 정약용은 인의예지가 사단을 실천함으로써 형성된다고 보았다. |
|
13. | 다른 사회 사상의 입장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4년 06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민주 사회주의의 기본 입장 파악 제시문은 민주 사회주의의 입장이 담겨 있는 ‘프랑크푸르트 선언’의 일부 내용이다. 민주 사회주의는 소련식 독재 정치를 부정하고 대중의 자발적인 정치 참여와 민주적 방법을 통해 사회주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ㄱ) 그리고 급진적인 혁명보다 선거와 정당을 통한 점진적인 개혁을 강조한다.(ㄷ)
[오답피하기] ㄴ. 민주 사회주의는 모든 생산 수단의 공유화를 추구하지 않는다. 즉, 농업, 수공업, 소매업, 중소 공업 등에 있어서의 사적 소유를 허용한다. ㄹ. 민주 사회주의는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통한 경제적 불평등의 해소를 강조한다. |
|
14. | 다음 고대 중국 사상가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7월) |
1. | 사회적 규범에 부합하는 언행을 해야 한다. |
2. | 인간의 삶을 주재하는 하늘의 뜻에 따라야 한다. |
3. | 군주는 자신의 인격을 닦은 후에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 |
4. | 외물에 얽매이지 말고 절대 자유의 경지를 추구해야 한다. |
5. | 수양을 통해 만물을 분별할 수 있는 지혜를 추구해야 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장자의 사상 이해하기 장자는 모든 사건이나 사물을 차별하지 않는 제물(齊物)을 주장한다. 인간이 시간과 공간 및 인식의 한계 속에서 상대적인 가치관에 얽매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비판하며, 정신적 절대 자유의 경지를 지향한다. |
|
15. | 갑, 을, 병은 조선 시대 사상가들이다. 이들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2014년 04월) |
1. | 갑은 선한 정을 기가 발하여 나타난 것으로 본다. |
2. | 을은 이와 기 모두 스스로 발동할 수 있다고 본다. |
3. | 병은 마음에 내재한 인의예지를 도덕적 본성으로 본다. |
4. | 갑, 을은 덕을 생득적인 것으로, 병은 후천적인 것으로 본다. |
5. | 갑, 을, 병은 사단을 인간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으로 본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이이,이황,정약용의 사상 비교하기 갑은 이이, 을은 이황, 병은 정약용이다. 이이는 사단과 칠정 모두 기가 발한 것으로 보며 기발이승(氣發理乘)을 주장하였다. 이황은 사단은 이가 발한 것으로, 칠정은 기가 발한 것으로 보며 이기호발(理氣互發)을 주장 하였다. 정약용은 인간의 성(性)을 선을 좋아하고 악을 부끄러워하는 기호(嗜好)로 파악하고, 덕(德)은 인간의 마음에 선천적으로 내재해 있는 것이 아니라 사단의 실천을 통해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갑, 을, 병 모두 사단을 인간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
|
16. | 밑줄 친 (ㄱ) 사상가가 주장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03월) |
1. | 형벌을 통해 백성을 엄격하게 규제해야 한다. |
2. | 실제 생활에 도움을 주는 학문에서 벗어나야 한다. |
3. | 인간의 자유 의지와 도덕적 욕구를 중시해야 한다. |
4. | 백성의 악한 본성을 예법(禮法)으로 다스려야 한다. |
5. | 백성이 무지(無知)의 상태에 있도록 통치해야 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정약용의 사상을 이해한다. 자료의 빈칸에 들어갈 인물은 정약용이다. 그는 인간의 자유 의지와 도덕적 욕구를 중시하였다.
[오답풀이] ⑤ 노자의 입장이다. |
|
17. | 갑, 을은 현대 서양 사상가들이다. 갑에 비해 을이 강조할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10월) |
1. | 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을 도덕성 발달로 보아야 한다. |
2. | 도덕적 행위를 위해 최고 원리인 정의의 원리를 따라야 한다. |
3. | 타인에 대한 배려가 도덕성의 중요한 요소임을 알아야 한다. |
4. | 여성은 남성보다 도덕적으로 열등한 존재임을 인정해야 한다. |
5. | 도덕적 갈등은 보편적 원칙에 따라 합리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의 입장을 비교한다. 갑은 정의 윤리를 강조한 콜버그이고, 을은 배려 윤리를 강조한 길리건이다. 배려 윤리는 도덕성의 요소로 타인에 대한 배려, 인간의 관계성에 대한 고려 등을 강조한다. |
|
18. | 갑, 을 사상가들의 공통된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06월) |
1. |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경전 공부를 우선해야 한다. |
2. | 인과응보의 숙명을 깨닫고 은둔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
3. | 분별적 사유를 벗어나는 해탈의 경지를 추구해야 한다. |
4. | 사고력을 향상시켜서 시비 판단을 엄격하게 해야 한다. |
5. | 열반의 경지는 글(文字)을 통해 남에게 가르칠 수 있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혜능과 원효의 공통된 입장 파악 갑은 대표적인 선종 사상가인 혜능이고, 을은 일심(一心)을 강조한 원효 이다. 혜능은 우리가 이미 완성된 부처라는 것을 단박에 깨닫는 돈오(頓悟)를 강조하였다. 원효는 대립하거나 갈등하는 여러 종파의 입장을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종합하려는 화쟁(和諍) 사상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두 사상가는 모두 분별적 사유를 벗어나는 해탈의 경지를 추구할 것을 강조하였다.
[오답피하기] ① 혜능은 경전에 의존하지 않는 깨달음을 강조하였다. ② 혜능과 원효가 은둔자적인 삶을 강조했다고 볼 수는 없다. 이들은 모두 속세에서 대중과 함께 깨달음을 추구할 것을 강조하는 대승 불교 사상가들이기 때문이다. ④ 혜능과 원효를 포함한 불교 사상가들은 ‘엄격한 시비 판단’을 강조하지 않는다. ⑤ 혜능은 문자에 의존하지 |
|
19. | (가)의 고대 중국 사상가 갑, 을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하고자 할 때, A ~ C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은 것은? [3점](2015년 10월) |
1. | A : 통치자의 덕은 백성에게 영향을 주는가? |
2. | B : 덕을 버려야 최상의 통치가 이루어지는가? |
3. | B : 덕으로 백성의 본성을 선하게 변화시켜야 하는가? |
4. | C : 좋은 통치는 자연의 흐름에 따라 다스리는 것인가? |
5. | C : 공동체의 질서를 위해 덕보다 법이 우선되어야 하는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공자와 노자의 사상적 입장을 비교하여 이해한다. (가)의 갑은 공자, 을은 노자이다. 노자는 자연의 흐름에 따라 무위 정치를 할 때 백성은 스스로 자신의 일을 해 나간다고 보았다. |
|
20. | 다음을 주장한 서양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
1. | 편협한 인간중심주의적 가치관에서 벗어나야 한다. |
2. | 모든 생명체를 존중하고 두려워하며 사랑해야 한다. |
3. | 인간은 자연의 주인으로서 모든 생명을 보전해야 한다. |
4. | 모든 생명이 내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
5. | 모든 생명체는 가치의 위계에 따라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슈바이처의 생명윤리 이해하기 제시문은 슈바이처의 생명외경사상이다. 그는 모든 생명체가 내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생명처럼 사랑하고 자비를 베풀 것을 강조 하였으며, 근대 이후의 인간중심적인 가치관과 과학기술 만능주의를 비판하였다. |
|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86818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